라벨이 이해경인 게시물 표시

사슴 사냥꾼의 당겨지지 않은 방아쇠, 이해경

소영은 운명을 인연으로 바꿔 생각해봤다. 인연을 믿는다? 그냥 오는 거지. 오면 엮일 수밖에 없는 거지. 왔다 간다면? 안 보낼 도리가 있을 텐가. 혹은 보내고 싶어도, 떠나지 않는 그 인연이 지겹다 해도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을 소영은 하고 있었다. (p.100) 우진은 지난봄 한숙의 손을 잡고 덕수궁 돌담길을 걸었던 그날 이후로 자신의 모든 것이 달라졌다고 느꼈다. 몸과 망ㅁ과 정신이 한꺼번에 쑤욱 자라버린 느낌이었다. 그것은 착각이었지만, 착각도 변화일 것이었다. 착각이라는 변화 혹은 변화했다는 착각에 힘입어 우진은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결정적인 것은 시인의 마음이었다. 이를테면 첫 키스가 왜 날카로운지, 운명의 지침을 돌려놓는다는 게 어떤 것인지,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겠다는 다짐의 의미라든가, 강을 건너는 님을 바라보는 이의 심정 같은 것을 우진은 바로 이해할 수 있었다. (p.123-124) 시인의 특기는 역설과 반복이었다. 용기는 정직한 자의 것. 겸손이 지혜를 낳지 않더냐. 참고 기다릴지어다. 우진은 시인에게 물었다. 무엇이 정직이고 겸손이란 말인가요. 시인의 대답은 무심했다.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할 것. 자기 생각을 많이 하지 말 것. 참고 기다릴 것. 우진이 알아들은 말은 한 가지뿐이었다. 우진은 참고 기다렸다. (p.125) 하늘 한번 처다볼 겨를 없이 봄은 갔다. 소영에게 시간은 흐른다기보다 어지럽게 흩어지는 느낌이었다. 그해 1983년 봄, 흩어지는 시간의 틈바구니에서 어디서든 혼자 있을 때, 소영은 그 노래를 나지막이 부르며 어두워가는 분숫가를 떠올렸다. 해 질 무렵 물을 뿜지 않는 분수처럼 쓸쓸한 풍경이 또 있을까. 소영은 눈을 감고 노래 속으로 들어가 말라붙은 분숫가를 서성이며, 오지 않는 사람을 기다리는 일에 대해 생각했다. (p.190) 왜 날 사랑하나. 노래의 반 이상을 채우며 되풀이되는 그 말을 한수는 이해할 수 없었다. 왜 날 사랑하나. 한수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그 말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