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랑방인 게시물 표시

초고

낯선 사랑방과 뜻밖의 대화 2014년 가을이었다. 아파트 단지 입구에 다코야키를 파는 푸드 트럭이 나타났다. 홍등을 주렁주렁 매단 이 작은 트럭 주인은 삼십대 중반이 될까 말까한 청년이었다. 그는 다코야키 4개를 1000원에 팔았다. 자주는 아니었지만 잊을만하면 한 번씩 트럭이 그 자리에 나타났다. 저녁 어스름이면 자리를 정리하는가 싶더니 더러는 매일 해가 넘어간 뒤까지 등을 밝히고 손님을 맞았다. 한 달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기도 했다.  내가 스무 해를 보낸 이 동네는 신도시도 구도시도 아닌 서울 외곽의 베드타운이다. 붐비지도 않고 적적하지도 않은 상태로 별다른 변화 없이 늘 조용한 편이다. 그래서 푸드 트럭을 몰고 홀연히 나타나 타코야끼를 파는 젊은 남자는 분명 꽤나 낯선 존재였다. 조금은 아련하기도 했다. 한때 자리를 지키던 달고나, 국화빵 같은 노점상들이 유년의 기억과 함께 자취를 감춘 지도 오래였기 때문이리라. 타코야끼 맛이 특별하지는 않았다. 엄마는 말했다. “젊은 사람이 열심인거 같아 눈여겨봤는데 장사가 제법 잘 되는 모양이야.”  장사는 지나치게 잘 됐다. 트럭 앞에는 자주 긴 줄이 늘어섰다. 그보다 눈길을 끄는 건 트럭을 둘러싼 훈기였다. “학원가니? 오늘 늦었네!” 잰 손으로 타코야끼를 만들던 청년이 목청껏 이름을 불렀다. 커다란 책가방을 메고 곁을 지나치던 아이는 꾸벅 인사를 했다. 그가 이름을 부르는 아이는 한둘이 아니었다. “여덟 개 해주세요. 10분 뒤에 들를게요.” 장 보러 가던 아주머니 ‘예약’에는 잔뜩 신난 청년의 목소리가 뒤따르기도 했다. 줄을 기다리는 손님들은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웠다. 그런 장면들이 집으로 향하던 내 발걸음을 때때로 멈추게 했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인지 궁금했다. 트럭은 예고 없이 찾아오는 동네 사랑방이 돼 있었다.  그해 겨울이 돼서야 나는 비로소 그 알 수 없는 따듯함의 뿌리를 봤다. 빗방울이 듣기 시작한 늦은 오후였다. 청년은 둘 뿐인 손님과 이야기를 나누는데 여념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