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칼럼인 게시물 표시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 김영민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 김영민 / 어크로스 삶이 곧 죽음이라면, 그리하여 이미 죽어 있다면, 여생은 그저 덤이다. 그리하여 나는 어려운 시절이 오면, 어느 한적한 곳에 가서 문을 닫아걸고 죽음에 대해 생각하곤 했다. 그렇게 하루를 보내고 나면, 불안하던 삶이 오히려 견고해지는 것을 느꼈다. 지금도 삶의 기반이 되어주는 것은 바로 그 감각이다. 생활에서는 멀어지지만 어쩌면 생에서 가장 견고하고 안정된 시간. 삶으로부터 상처받을 때 그 시간을 생각하고 스스로에게 말을 건넨다. 나는 이미 죽었기 때문에 어떻게든 버티고 살아갈 수 있다고. p.7-8 요컨대, 상대를 따듯하게 대해주는 일상적인 습관이 중요합니다. 지금 이 순간 두 사람의 감정이 아무리 뜨거워도, 그 애정이 이 따뜻함의 습관을 만들어주지는 않을 겁니다. 그보다는 거꾸로, 일상적으로 따뜻함을 실천하는 습관이 길게 보아 두 사람 간의 애정을 만들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p.47-48 쉰다는 것이 긴장의 이완을 동반하는 것이라면, 오직 제대로 긴장해본 사람만이 진정한 이완을 누릴 수 있다. 당겨진 활시위만이 이완될 수 있다. p.87 "어느 소설가가 그랬다잖아요. '왜 책을 읽어야 하냐고 묻는다면, 남이 침범할 수 없는 내면을 갖기 위해서라고 생각해요'라고. 제 농담은 그 말에 대한 각주 아닐까요? 그언론인의 내면에 깃든 시란, 설익은 국가가 폭력을 휘두른다고 파괴할 수 있는 게 아니죠." p.107 소멸에는 어떤 예외도 없다. 어떤 존재를 지탱했던 조건이 사라지면 그 존재도 사라진다.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소멸의 여부가 아니라 소멸의 방식이다. p.125 파국을 넘어, 사회적 삶은 의외로 오래 지속된다. 사회적 삶이 지속되는 동안은 공적인 의미를 확정할 수 없기에 역사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역사는 사회에 대해 죽음이 삶에 행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p.137 실로 사람들은 과거에 존재했던 것만 그리

정의를 부탁해, 권석천

정의를 부탁해  권석천의 시각 저자   권석천 | 동아시아   | 2015.11.03 자신이 소속되지 않은 계층의 고통에도 공감할 수 있었던 그때, 그 분열의 감수성 말이다. 보수진보의 깃발이 구심력을 잃고 있는 지금, 우리 사회의 희망은 그렇게 작은 분열들에서 싹틀지 모른다. p.49, <성공담이 듣고 싶은 당신께> 인간은 말(언어)의 포로다. 세상에 나와 배우고 익힌 말로 생각하고, 대화하고, 글을 쓴다. 그래서 말을 장악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 권력은 총구(銃口)가 아닌 말에서 나온다. p.73, <'공권력'을 민영화하라> 법을 배운 자들이 저러할진대 누구에게 억울함을 하소연할 건가. 법도 끝까지 우기면 되는 건가. 법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나는 그런 수군거림이 무섭고 두렵다. p.163, <국정원 청문회의 검투사들> 정권 전반기, 살아 있는 권력 앞에서 '순한 양'이었다가 후반기에는 죽어가는 권력 앞에서 '호랑이의 이빨'을 드러내곤 했다. 그 과정에서 수사권과 기소권이 일그러지는 상황이 반복됐다. 그것이 과연 개개인의 출세욕과 얼마나 분리될 수 있는지 의문이다. p.212, <'펀치' 검사들이 사는 법> 진실은 저마다 다를 수 있다. 한 사회가 진실을 끝까지 가리지 않고 '편한 진실'을 추구하는 것은 정의에 반한다. 판사는 여론에 휘둘려서도, 재판 원칙 뒤에 숨어서도 안 된다. 끊임없이 불편해야 하고, 그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그것이 헌법이 판사의 신분을 보장해 주는 이유다.  p.257, <낙지 살인, 그 편한 진실> 민주화와 정의를 향한 여정은 나의 오른팔을 없앤 자에게 왼손을 내미는 과정인지도 모릅니다. 오직 괴물이 되지 않기 위해서. p.383, <원칙이 우릴 삼킬지라도> = 뭇 주니어

문학의 열병/신춘시즌 단상

http://media.daum.net/series/112369//newsview?seriesId=112369&newsId=20131218210307746 [2030 세상보기/12월 19일] 신춘시즌 단상 한국일보   |   백가흠 소설가   |   입력   2013.12.18 21:03 신춘시즌이 지나가고 있다. 아마도 대부분 당선자들에게는 개별통보가 갖거나 마감이 늦었던 곳은 속속 당선자들이 가려지고 있을 것이다. 허나 아직도 응모자들은 간절하게 연락을 기다리며 올해 신춘문예의 주인공이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을 수 있다. 또 한편으론 낙선에 대한 불안한 걱정도 늘어갈 것이다. 문청에게 신춘문예는 어쨌든 자신이 살아있음을 확인하는 일이고, 문학이 자신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다시 깨닫는 순간이다. 올해에도 나는 한 곳의 예심을 맡았다. 셋이서 수 백 편이 넘는 응모작을 하루 만에 읽고 본심에 올릴 작품을 고른다는 것이 어쩜 불가능한 일처럼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응모를 한 사람들은 그게 말이 되는 일이냐고 불만을 토로하기도 한다. 허나 온종일 본심에 올릴 두 세편을 가려내는 일이 그리 어려운 일만은 아니다. 왜냐하면 당선자는 한 명뿐이라는 사실 때문이다. 내게 할당된 작품에서도 당선, 단 하나의 작품만 고르면 되는 일인데, 그 작품은 대개 눈에 확 들어오기 마련이다. 1차로 정독할 작품을 추린다. 그 말은 떨어뜨릴 작품을 고른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러면 작품량은 10분의 1로 줄어든다. 다음, 거른 작품을 정독한 후 각자 두세 편을 본심에 올리는 방식을 취한다. 예심을 하며 작품 모두를 끝까지 정독할 수는 없다. 솔직히 말하면 그럴 이유도 없다. 대개는 도입부분과 결말을 보는데 그곳에 응모자의 글쓰기 수준이 모두 들어있기 때문이다. 응모자들이 그렇게 소설을 읽고 어떻게 소설의 진위를 가려내겠느냐 묻는다면, 가려낼 수 있다고 난 자신할 수 있다. 신춘문예는 단 한 명의 당선자만 가려내면 되는 일이고 그것은 본심 위원들이 할 일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