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혁명인 게시물 표시

모터싸이클 다이어리 (2004)

이미지
모터싸이클 다이어리 The Motorcycle Diaries, 2004 드라마 미국 ,  독일 ,  영국 125분 2015 .07.02  재개봉,  2004 .11.12  개봉 월터 살레스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 , 로드리고 드 라 세르나 한 번도 본 적 없는 세상이 이렇게 그리울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한 문명이 다른 문명을 이토록 무참히도 짓밟아 버릴 수 있을까요? 자기 자신들의 문명을 위해 이렇게까지. 우리의 시각이 너무 좁고 편향됐던 건 아닐까? 그래서 경솔하게 판단한 건 아닐까?  이번 여행은 내 생각 이상으로 많은 것을 변화시켰다.  나는 더 이상 내가 아니다. 과거와 같은 난 없다.  매 순간 흔들려요. 남겨진 것들에 대한 울적함과, 새로운 세계에 대한 흥분으로. 이번 여행에서 아메리카 대륙의 실체없는 분열이 완벽한 허구라는 믿음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아니야 알베르토, 무엇인가가 잘못됐어. = 위대한 혁명가 체게바라 이전의 청년. 그의 뜨거운 심장속에서 변화에 대한 열망이 발아하는 과정을 길 따라 덤덤하게 그려낸다. 평범할 수 있었던 의대생은 걸음걸음마다 스친 길들, 만난 사람들, 본 장면들, 겪은 경험들을 허투로 흘러보내지 않고 마음속으로 온전히 품었다. 변화한 자신을 인지하고 행동함으로써 역사적인 혁명가가 된다. 그가 혁명가로 일어서는 부분은 영화에 담겨있지 않지만 그 과정을 보여주는 것 만으로도 충분했다. 가감없이 훌륭한 체게바라 전기의 프롤로그다. 휴가가 끝나갈무렵 이 영화를 본 건 잘못된 선택이었다. 남미 가고 싶어 죽을것같다. 젊은 그의 나날에 허락된 열정과 우정, 그리고 그 모든 여정이 너무나도 부럽다.

작은 혁명

나는 꽤나 고리타분하고 보수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보수적이라는 말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지만 우리집, 적어도 가장인 우리 아빠만큼은 어느 모로 보나 그 단어에서 자유롭지 못한 분이다. 방학이라 탱자탱자 노는 남동생과 간만의 휴일을 맞아 늦잠을 자는 내가 함께 집에 있다면 밥상을 차리고 치우는 일은 내 몫인 게 '당연하다'. 그게 우리 아빠 철학이다. 내가 누나이기 때문이고, 더 본질적으로는 여자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문제가 아니더라도 아빠와 다툴 일은 수두룩하기 때문에 대개는 '순리'에 따르곤 한다. 그래도 불쑥불쑥 내 안의 뜨거운 무언가가 들끓어오르는 날은 어쩔수 없다. '반항'을 할 수밖에. 그 순리라는 것이 분명히 부당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여성학 수업한번 제대로 들어보지 않은 채 여대를 졸업한 뒤 이런 저런 잡다한 지식을 더듬어 '페미니즘'을 이해해가는 내 짧은 식견에도 그랬다. 반항에는 아빠의 꾸중이 뒤따랐다. 아빠의 순리는 명절에도 고스란히 적용된다. 고종사촌 형부까지 명절마다 스무명 가까이 모여드는 우리집에서 식사준비와 뒷정리는 거진 다 여자들 몫이다. 엄마, 작은엄마, 사촌언니들, 나. 그중에서도 많은 부분이 꾀부릴 줄 모르는 맏며느리 우리 엄마 몫이다. 남자들이 하는 거라곤 상 꺼내 닦기, 다 먹은 상 부억 쪽으로 들어나르기, 무거운 과일 상자 받아들기, 음...더 생각해내려 했는데 여기까지다. 너댓세트의 밥상을 전부 차려내고 자리에 앉아 마침내 수저를 들면 아빠가 앉은 어른 상을 시작으로 주문이 밀려든다. 이 대목도 언짢다. 2016년에 유교적 서열에 입각한 자리 배치라니! 무튼 "초고추장이 떨어졌어" "갈비좀 더" "물 없나" "뿅각이 밥좀 더 줘" 이런 소리마다 여자들이 몸을 일으켜세우지만 매번 우리 엄마가 제일 빠르다. 엄마는 밥을 먹는둥마는둥 계속 영업 중인 상태가 된다. 물론 나도.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