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이준익인 게시물 표시

데뷔의 순간, 한국영화감독조합

데뷔의 순간  - 영화감독 17인이 들려주는 나의 청춘 분투기 주성철 엮음/ 한국영화감독조합 지음 푸른숲 점점 주변의 불편한 시선도 느껴지고, 이제 할 만큼 했으니 다른 먹고살 일을 찾으라는 진심 어린 조언도 숱하게 들었다. 그럴 때 가장 치명적인 것은 자신에게 재능이 없다는 자학과 스스로를 가엽게 여기는 자기연민의 도돌이표다. ... 그럼에도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건, 내가 진정으로 원한 데뷔작이 아니었다 하더라도 '김경형'이라고 하는 인간의 본질과 무관한 불량식품은 만들지 않겠다는 다짐이었다. p.26-27, 31 김경형,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정면승부다> 그리고 특별한 재능이나 영리함이 있었다기보다 맷순간 가졌던 절박함이 나의 무기였다. 그래서 나는 동생 승범이나 박찬욱 감독님처럼 '아님 말고' 식의 여유를 가진 사람들이 부럽다. 물론 그 역시 진짜 여유라기보다 자기 자신만 아는 절박함의 다른 표현이겠지만, 나는 그런 생각을 뱉어낼 여유조차 없다. 지금도 한 편, 한 편 만들 때마다 전쟁 같고 너무 많은 상처가 남으며 항상 불안하다. 내겐 너무 생명 같고 소중한 영화라 그 영화의 운명을 지나치게 걱정하는 것이다. ... 어쩌면 내가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건 바로 그 절박함 때문이었다. ...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결코 많지 않다. 그러면서 겁먹지 않는 태도를 키워야 한다. 챔피언은 잘 때리는 사람이 아니라 잘 맞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p.82-83 류승완, <챔피언은 잘 대리는 사람이 아니라 잘 맞는 사람이다> '진짜 이 길이 내 길인가' 하는 불확실성과 마주하면서 버틸 수 있었던 힘은 '이것밖에 없다'는 생각이었다. 할 줄 아는 다른 게 없으니 '선택의 여지'니 그런 게 없었다. ... 그렇게 오직 영화로 먹고살기로 결심한 이상, 머나먼 후배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얘기는 하나다. 자기가 뭔가 대단한 일이라

사도(2014)

이미지
사도 The Throne , 2014 감독: 이준익 출연: 송강호, 유아인, 문근영 # 이것은 나랏일이 아니고 집안일이다. # 허공으로 날아간 저 화살이 얼마나 떳떳하냐. # 사람이 있고 예법이 있는 것이지, 어떻게 예법이 있고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까. 공자도 그랬습니다. 사람의 말단을 보지 말고 마음을 보라고. 저는 그날 아비의 마음을 보았습니다. # 내가 바란 것은 아버지의 따듯한 눈길 한 번, 다정한 말 한 마디였소. # 어찌하여 너와 나는 이승과 저승의 갈림길에 와서야 이런 이야기를 나눌 수밖에 없단 말이냐 나는 자식을 죽인 임금으로 기록될 것이다. 너는 임금을 죽이려 한 역적이 아니라 미쳐서 아비를 죽이려 한 광인으로 기록될 것이다. 그래야 세손이 산다. = 아비 복은 없어도 자식 복은 있었던 어느 불행한 왕자 개인의 내밀한 이야기. 광인으로 묘사된 사도세자라는 인물의 기구한 삶, 그 역사적 공백을 부자지간의 팽팽한 긴장감이 빼곡히 채웠다. 아버지는 아버지이기보다 왕이어야만 했고, 아들은 왕자이기 이전에 아들이고 싶었을 뿐이었다. 비단 왕실에서만 가능한 이야기는 아니다. 오늘날의 숱한 부자지간과 멀게 느껴지지 않는 건 어떤 전통 같은 가부장적 요소가 아직도 우리네 삶 속에 흐르기 때문일까. 미술 하고 싶은 아들 서울대 의대 보내려다 잡는 이야기라는 농담이 마냥 농담처럼 느껴지진 않는다. 영화를 가만히 따라가다 보면 서로를 향한 부자지간의 광기를 마냥 손가락질 할 수만은 없다. 누가 먼저 엇나갔는지 애써 탓할 필요도 없다. 가정사는 곧 시대적 비극이 되고, 시대사가 곧 한 가족의 비극이 된다. 그게 '관계'에 대한 이 영화의 치밀한 구조이자 포용이다. 송강호의 아우라에 눌리지 않는 유아인의 연기 신공이 스크린을 압도한다. 반올림 시절만 해도 이정도의 거물 배우로 성장할 줄 누가 알았을까. 베테랑에 이어 사도에서도 올 한해 한국 영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