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엄마인 게시물 표시

엄마가 된다는 것

엄마가 된다는 것 아이들이 있었다. 열두살 난 소년부터 서너살배기 꼬마까지 네 명. 아버지가 다른 남매들이다. 그들의 존재는 비밀 그 자체다. 공식적으로 태어난 적이 없어서다. 사랑이 끝나고 짐짝처럼 아이가 남겨지는 일이 반복됐다. 혼인신고도, 출생신고도 없이 남자들이 떠난 뒤 남은 엄마가 할 수 있는 거라곤 거짓말 뿐이었다. 그녀는 비밀리에 꽁꽁 감춰 아이들을 길러냈다. 쉬운 일은 아니었다. 이 가족이 무너지기 시작한 건 엄마가 편지와 약간의 돈만 남긴채 아이들을 떠나면서부터다. 크리스마스가 되면 돌아오겠다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아이들은 두려웠고 외로웠고 배고팠고 힘겨웠지만 저마다의 동심을 발휘하며 끝까지 살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세상을 견디기에는 그 노력이 너무 연약했던걸까. 결국 막내가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난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2004년작 영화 '아무도 모른다' 얘기다. 먹먹한 마음이 가시지 않아 엔딩크레딧이 끝나고 정지된 화면에서 한참이나 눈을 떼지 못했다. 복잡한 심경을 굳이 한갈래로 정리하면 '충격'이라고 해야 할까. 영화의 모티브가 된 '실화'가 있었고 그게 영화보다 더했다는 사실이 충격을 배가시켰다. 1988년 도쿄에서 발생한 ‘스가모 어린이 방치 사건’. 엄마가 비밀리에 기르던 아이들 중 차남이 병사했는데 출생신고되지 않은 아이에 대한 매장 허가가 나올 리 없었다. 그녀는 죽은 아이를 비닐에 싸서 악취제거제와 함께 벽장 속에 넣었다. 그걸 보고 자란 장남이 훗날 죽은 동생을 비슷하게 암매장했다가 적발된다. 이 가족은 그렇게 세상 밖으로 나왔다.  여러 감정이 뒤엉킨 충격은 불안으로 구체화됐다. 모성이 본능은 아닐지도 모른다는데서 시작된 불안이었다. 낯설지는 않았다. 수년전 린 램지의 영화 '케빈에대하여(We Need to Talk About Kevin:2011)'를 봤을 때도 한차례 겪었으니까. 우리는 알게모르게 모성애가 여성에게 내재된 본능적인

차이나타운 (2015)

이미지
차이나타운 Coinlocker Girl, 2014 한준희 김혜수 (엄마),  김고은 (일영),  엄태구 (우곤) 누구야? 我孩子(워 하이즈). 엄마도, 엄마가 있어요? 넌 엄마 없니? 걔가 왜 좋았니? 그냥 친절해서요. 증명해봐, 네가 아직 쓸모 있다는 증명.    결정은 한 번이고 그게 우리 방식이야.  끔찍할 땐 웃는게 차라리 편해. 죽지마, 죽을때까지. 이제부터는 니가 결정해. = 느와르 영화의 성별 뒤집기. 제 아이에게 더 나은 인생을 물려주지 못하고 딱 그만큼의 삶을 물려줄수밖에 없었던 어미의 운명은 얄궂다. 아이는 그렇게 다시 또 하나의 '엄마'가 됐다. 기대에 비해서는 만듦새가 좀 떨어졌지만 그런대로 볼만했다. 이 영화는 김고은이 마지막으로 연기를 '잘 한' 영화이기도 하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이때만해도 김혜수에 밀리지 않는 포스였다며 기대가 컸는데 지금 왜 이렇게 됐는지 안타까울 지경이다. 이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굴러가는 그 세계를 성실하게 담아낸 영화다. 좀 더 성실했더라면 설령 그들이 살아가는 세계가 이해할 수 없는 곳이라 해도 인간 보편의 감정에 기대 보다 섬세하게 이해할 수 있었을텐데. 일영이와 그 남자애 사이의 감정선 사이에 디테일을 좀 더 채워줬더라면 한결 나았을 거다.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