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영조인 게시물 표시

사도(2014)

이미지
사도 The Throne , 2014 감독: 이준익 출연: 송강호, 유아인, 문근영 # 이것은 나랏일이 아니고 집안일이다. # 허공으로 날아간 저 화살이 얼마나 떳떳하냐. # 사람이 있고 예법이 있는 것이지, 어떻게 예법이 있고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까. 공자도 그랬습니다. 사람의 말단을 보지 말고 마음을 보라고. 저는 그날 아비의 마음을 보았습니다. # 내가 바란 것은 아버지의 따듯한 눈길 한 번, 다정한 말 한 마디였소. # 어찌하여 너와 나는 이승과 저승의 갈림길에 와서야 이런 이야기를 나눌 수밖에 없단 말이냐 나는 자식을 죽인 임금으로 기록될 것이다. 너는 임금을 죽이려 한 역적이 아니라 미쳐서 아비를 죽이려 한 광인으로 기록될 것이다. 그래야 세손이 산다. = 아비 복은 없어도 자식 복은 있었던 어느 불행한 왕자 개인의 내밀한 이야기. 광인으로 묘사된 사도세자라는 인물의 기구한 삶, 그 역사적 공백을 부자지간의 팽팽한 긴장감이 빼곡히 채웠다. 아버지는 아버지이기보다 왕이어야만 했고, 아들은 왕자이기 이전에 아들이고 싶었을 뿐이었다. 비단 왕실에서만 가능한 이야기는 아니다. 오늘날의 숱한 부자지간과 멀게 느껴지지 않는 건 어떤 전통 같은 가부장적 요소가 아직도 우리네 삶 속에 흐르기 때문일까. 미술 하고 싶은 아들 서울대 의대 보내려다 잡는 이야기라는 농담이 마냥 농담처럼 느껴지진 않는다. 영화를 가만히 따라가다 보면 서로를 향한 부자지간의 광기를 마냥 손가락질 할 수만은 없다. 누가 먼저 엇나갔는지 애써 탓할 필요도 없다. 가정사는 곧 시대적 비극이 되고, 시대사가 곧 한 가족의 비극이 된다. 그게 '관계'에 대한 이 영화의 치밀한 구조이자 포용이다. 송강호의 아우라에 눌리지 않는 유아인의 연기 신공이 스크린을 압도한다. 반올림 시절만 해도 이정도의 거물 배우로 성장할 줄 누가 알았을까. 베테랑에 이어 사도에서도 올 한해 한국 영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