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핀란드인 게시물 표시

거의 완벽에 가까운 사람들, 마이클 부스

거의 완벽에 가까운 사람들 -거의 미친 듯이 웃긴 북유럽 탐방기 마이클 부스 지음/ 김경영 번역/ 글항아리 세계행복보고서는 최신 ‘행복’ 연구, 즉 갤럽 조사, 세계가치조사, 유럽가치조사, 유럽사회조사 등을 모두 합계했다. 결과는 어땠을까? … 덴마크가 또다시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꼽혔고, 핀란드가 2위, 노르웨이가 3위, 스웨덴이 7위로 바싹 뒤쫓았다. p.11 북유럽의 모든 것을 향해 전 세계는 더 뜨겁게 열광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현대의 바이킹 문화는 전례없이 승승장구했다. p.13 “세상 어딘가에 평범한 재능과 소득을 가진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다면 바이킹으로 태어나고 싶을 것이다.” 영국의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북유럽을 주제로 한 특별호에서 약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P.21 다음으로 실행에 옮긴 전략은 ‘긍정적 편협주의’라고 볼 수 있다. 덴마크는 잔이 반이나 찼다는 세계관을 취했다.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의 잔이 ‘그때’ 반이 차 있었기 때문이며, 그런 세계관이 오늘날까지 떠들썩하게 치켜세워지는 덴마크 사회의 성공 비결로 보인다. 물론 수많은 요인이 합쳐져 국민 정서를 만든다. 내가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있기는 하지만, 고립성을 향한 이 같은 편협주의적 충동과 그에 수반되는 민족낭만주의 성향은 지금도 덴마크스러움의 결정적 요소다. 이는 모든 덴마크인이 지금도 외우는 다음의 말로 요약된다. “밖에서 잃은 것은 안에서 찾을 수 있다.” p.40 덴마크인은 나이, 계층, 세계관과 상관없이 사이좋게 지내는 보기 드문 재능을 가진 듯싶다. 평등은 그들에게 자연스러운 일이다. … 물론 덴마크가 기본적으로 하나의 거대한 중산층이며 흔히 말하는 것처럼 사실상 계급 차별이 없는 사회인 까닭도 있다. … 그것은 홀스트의 시구 “밖에서 잃은 것은 안에서 찾을 수 있다”처럼 모든 덴마크인이 외우고 있으며 N.F.S. 그룬트비가 쓴 문장이다. “부자가 적고 가난한 사람은 더 적을 때 우리 사회는 평등을

남과 여 (2015)

이미지
남과 여 A Man and A Woman, 2015 멜로/로맨스 한국 115분 2016 .02.25  개봉 이윤기 전도연 (상민),  공유 (기홍) 우리 제대로 가고 있는 거예요? 우연, 아니죠? 음.. 반반? 사는 게 왜 이렇게 애매한지 모르겠다.  기억하지 않는 게 더 좋은 기억도 있어요.  고마워.  뭐가? 그냥, 다. It's better not to know.  = 불륜 미화냐 아니냐 논쟁이 있다. 그 나쁜 소재를 가지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했기 때문에 논쟁이라도 시작할 수 있었을 테다. 불륜 소재 자체에 대한 호오를 떠나, 분명 잘 만든 영화다. 남과 여. 제목을 아주 잘 지었다. 낯선 세계로 여자를 이끌던 남자는 앞 뒤 잴 것도 없이 미친놈처럼 그녀에게 빠져들었다. 그러나 결국 책임을 방패 삼아 아무것도 책임지지 않은 채 제 감정을 거둬들인다.  남자가 정신없이 빠져드는 동안 여자는 재고, 따지고, 밀어내고, 또 생각한다. 가까쓰로 그 사랑을 택하고 모든 것을 내던졌을때는 이미 남자가 등 돌린 뒤다.  누가 더 나쁘다 탓하기도 힘들 정도로 겨룰 것 없이 나쁜 년놈들이라지만, 아무래도 더 나쁜 쪽은 남자인 것 같다. 흔들 대로 흔들어놓고, 도망쳐버렸으니까. 남자는 무모했지만 용기가 없었다. 모순적이고 비겁하다.  두 주인공의 넉넉한 재력과 아름다운 외모를 빼면 영화는 매우 현실적으로 흘러간다.  애매한 남자가 초점 없는 눈으로 옛날의 그 길을 가는 동안, 모든 걸 던져버린 여자는 설원 위로 돌아와 새 출발을 한다. 모르는 게 나은 것, 기억하지 않는 편이 좋은 추억들을 생각하며 여자는 삶이 흔들리기 시작한 그 지점에서 다시 견고하게 삶을 쌓아 나갈 것이다.  어느 쪽으로건 자신의 인생을 다 걸 줄 아는 사람에게 허락된 새로운 출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