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일본인 게시물 표시

나의 첫 번째 일본, 오키나와

이미지
나의 첫 번째 일본, 오키나와     남국의 복장을 한 피카츄들. 귀여워서 살 뻔 했다. 포켓몬들이 즐비하다  조금 늦은 여름휴가를 오키나와로 가기로 한 데는 여러가지 계산이 있었다. 우선은 돈 계산을 했다. 이런 저런 계획으로 돈을 알차게 모으기로 다짐했건만 잘 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아시아를 벗어나지 말아야 겠다고 생각했다. 추려진 게 태국, 대만, 일본, 베트남 정도였다. 슈리성 무료 춤 공연 첫 순서. 아름다움이 가장 강조된 춤. 다이빙을 꼭 다시 해야겠다는 생각도 했다. 일년에 한번씩 다니는 걸로는 매번 할 때마다 가망이 없을 거라는 불길한 확신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다시 대만과 오키나와 정도로 목적지를 추릴 수 있었다. 틈나는 대로 대한항공 어플과 인터파크 항공 어플을 기웃거렸다. 그리고 마침내, 어느 야근날 밤, 26만원짜리 오키나와 왕복 대한항공 티켓을 발견하자마자 결제를 했다. 그 다음에 같은 직업을 가진 친구를 살살 꼬셨다. 그녀는 알까. 이 휴가가 내 생애 최초로 친구와 함께한 휴가였다는 것을. 다니는 동안 발이 되어 준 버스들. 시간표, 노선도 몰라서 한참을 해메었는데. 터미널 가니 정보가 많았다. 잔파 비치 근처의 터미널. 오키나와는 생각보다 큰 섬이었다. '오키나와에 갈거야!'라고 하니까, '어느 섬? 북부?'하고 묻던 일본인 친구의 아리송한 표정은 여행 책을 산 뒤에야 이해할 수 있었다. 우리에게 선택의 여지는 많지 않았다. 나는 주차를 할 줄 모르는, 반쯤은 장롱 속에 든 면허의 소유자였고 친구는 여행을 앞두고 운전면허 실기 시험에서 탈락했기 때문이다. 위험한 운전은 꿈도 꾸지 말라는 신의 계시였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메마시떼, 도조 요로시꾸 오네가이시마스 국제거리의 비오는 야경 나홀로 일본에 도착한 건 9월 27일 밤이었다. 17호 태풍이 허겁지겁 지나간 터라 대차게 비가 내리고 있었다. 비가 와서 조금 움츠러든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자본론' 안에는 마르크스의 독특한 표현이 나온다. 그는 자본주의 사회를 지배하는 구조 장치의 근본이 노동력이라는 상품이라고 말한다. 노동자는 노동력을 팔고, 그 대가로 임금을 받는데, 자본주의를 자본주의답게 만드는 열쇠는 바로 노동력에 있다. p.43 마르크스는 노동력이 상품이 되려면 두 가지 중요한 조건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하나는 노동자가 '자유로운' 신분일 것, ... 또 하나는 노동자가 '생산수단'을 가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p.51-52 마르크스는 이렇게 말한다. "기술혁신은 결코 노동자를 풍족하게 만들어주지 않는다. 자본이 노동자를 지배하고 보다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p.65 아무리 생각해도 생명 친화적이지 않다. 이런 방식이 상식이 된 이유는 사람들이 '덧셈'이라는 방식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p.144 사람들은 돈이라는 이름의 비료를 대량으로 투입해 경제를 뒤룩뒤룩 살찌게 한다. 내용물이야 어떻든 이윤만 늘면 된다. ... 비만이라는 병에 걸린 경제는 거품을 낳고, 그 거품이 터지면 공황(대불황)이 찾아온다. 거품붕괴는 어떤 의미에서는 너무 살쪄서 비정상이 되어버린 경제가 균형을 되찾는 자정작용이다. p.147 소셜 미디어를 통해 탄생한 유대관계는 고독한 싸움이 되기 십상인 소상인들에게 용기를 준다. p.187 =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열쇠라고 일컫는 노동력은 오늘날 지나치게 평가절하된 게 아닌지. 노동력이 상품이 되려면 충족해야할 조건은 '자유로운 신분일 것','생산수단을 가지지 않아야 할 것'. 이는 오늘날에도 유효한가? 소상공인이 줄어들고 있으니 오히려 뛰어들어야 한다는 내용에 선뜻 공감이 가지는 않았다. 근본적으로 어느정도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일이니 가능한 '투자'가 아닌가. 자본 없는 투자가 가능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