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회인 게시물 표시

검사내전, 김웅

검사내전 김웅 / 부키 논리와 이성의 천적은 부조리가 아니라 욕심이다. 아쉽게도 우리의 주성분은 욕심, 욕망, 욕정이다. 우리는 '욕심'이라는 거친 바다 위를 구멍 뚫린 '합리'라는 배를 타고 가는 불안한 존재들이다. 마땅히 쉼 없이 구멍을 메우고 차오르는 욕심을 파내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마치 욕심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허세를 부린다. 그래서 우리는 욕심으로부터 논리와 이성을 지켜내는 법을 배운 적이 없다. p.63 - 욕심이라는 마음 속의 장님 일당들이 구속된 후 나는 서울중앙지검을 떠나기 전에 영민 씨를 불렀다. 그에게 뭔가 멋진 이야기를 해주고 싶었다. 가령 '정의는 지각할 수 있지만 결근하지는 않는다'라든가, '법이 보이지 않는 것은 당신들이 딛고 서 있기 때문이다'라든가 하는 나도 믿지 않는 말을 해주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했다. 바보 같게도 나는 그에게 살다 보니 세상이 다 사기 같다고 말했다. 영민 씨같은 사람에게 세상은 더욱 그렇다고 했다. 청년에게 희망을 주라는 말도 사기라고 했다.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자식들에게 희망이 아니라 특혜를 준다. 청년에게 위로를 건넨다는 교수나 종교인도 정작 관심은 돈에 있는 것일지 모른다. 정의와 법치주의를 부르짖는 검찰도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거대한 사기의 주연일지 모른다. 어쩌면 개처럼 일하는 형사부 검사들의 선의와 신실함이 이 사기의 가장 화려한 기술로 악용되었을지 모른다. 그레서 세상은 늘 영민 씨 같은 사람들의 시간과 노력과 기대를 훔쳐 가는지 모른다. p. 109 - 국가대표 영민 씨의 슬픈 웃음 하지만 블랙박스가 거짓말을 고쳐주었듯, 시간이 지나 그 상처를 치유해 준 것도 있었다. 우연히 만난 애덤 스미스의 말이었다. 그가 내게 말했다. 이타심은 건물의 장식품과 같다고, 사회를 아름답게 만들어주기는 하지만 그것이 없다고 해서 사회가 무너지지는 않는다고, 하지만 정의는 건물의 기둥과 같은 거라서 그것이

당선, 합격, 계급, 장강명

당선, 합격, 계급 장강명/ 민음사 어떻게 보면 박맹호 회장이나 강태형 대표는, 목적도 관심사도 같은 사람들이었다. 그들이 발견하고 키우고자 했던 것은 '재능'이었다. 한 명의 뛰어난 소설 천재를 발굴할 수 있다면 그 비용은 거액이 들어도 아깝지 않다는 게 그들의 생각이었다. 진흙 속의 천재를 평론가가 더 잘 알아볼 수 잇는 시대인지, 그렇지 않은지와 같은 문제에 대해 의견이 달랐을 뿐이다. ...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그림 백 점, 천 점을 모았다고 해서 그게 <모나리자>나 <게르니카>보다 귀하다고 할 화가나 미술평론가는 없을 것이다. 예술가들은 모두 근본적으로 엘리트주의자다. p.88 과거제도는 사회의 창조적 역동성을 막았다. 이 제도는 블랙홀처럼 온 나라의 젊음과 재능을 빨아들였다. 철저한 계급사회에서, 시험만 잘 치면 순식간에 기득권 핵심부에 들어설 수 있다는 약속만큼 달콤한 것도 없다. 유능한 청년들이 자기 주변에 있는 중소 규모의 지적, 산업적 프로젝트에서 관심을 거두고 중앙에서 실시하는 시험을 통과하는 데 모든 힘을 쏟았다. p.101 마르셀 프루스트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NRF 출판사에 보냈다. NRF는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거절했는데, 그런 판단을 내린 사람은 편집장으로 일하던 앙드레 지드였다. ... 2017년에는 프랑스 작가 두 사람이 1985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클로드 시몽의 소설 일부를 발췌해 출판사 열아홉 곳에 보냈다. 그랬더니 일곱 곳에서는 아무런 응답이 오지 않았고, 열두 곳은 출간 거절 의사를 밝혔다. p.184 공모전 심사는 공정하다고 본다. 형식적, 절차적인 면에서 공정하다. 공정함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때로는 신인 선발 제도에서도 실질적, 결과적 공정함을 논해야 할 수 있다. ... 그러나 장편소설공모전에서 우리가 따질 수 있는 것은 형식적, 절차적 공정성뿐이다. p.269 여기에서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자본론' 안에는 마르크스의 독특한 표현이 나온다. 그는 자본주의 사회를 지배하는 구조 장치의 근본이 노동력이라는 상품이라고 말한다. 노동자는 노동력을 팔고, 그 대가로 임금을 받는데, 자본주의를 자본주의답게 만드는 열쇠는 바로 노동력에 있다. p.43 마르크스는 노동력이 상품이 되려면 두 가지 중요한 조건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하나는 노동자가 '자유로운' 신분일 것, ... 또 하나는 노동자가 '생산수단'을 가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p.51-52 마르크스는 이렇게 말한다. "기술혁신은 결코 노동자를 풍족하게 만들어주지 않는다. 자본이 노동자를 지배하고 보다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p.65 아무리 생각해도 생명 친화적이지 않다. 이런 방식이 상식이 된 이유는 사람들이 '덧셈'이라는 방식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p.144 사람들은 돈이라는 이름의 비료를 대량으로 투입해 경제를 뒤룩뒤룩 살찌게 한다. 내용물이야 어떻든 이윤만 늘면 된다. ... 비만이라는 병에 걸린 경제는 거품을 낳고, 그 거품이 터지면 공황(대불황)이 찾아온다. 거품붕괴는 어떤 의미에서는 너무 살쪄서 비정상이 되어버린 경제가 균형을 되찾는 자정작용이다. p.147 소셜 미디어를 통해 탄생한 유대관계는 고독한 싸움이 되기 십상인 소상인들에게 용기를 준다. p.187 =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열쇠라고 일컫는 노동력은 오늘날 지나치게 평가절하된 게 아닌지. 노동력이 상품이 되려면 충족해야할 조건은 '자유로운 신분일 것','생산수단을 가지지 않아야 할 것'. 이는 오늘날에도 유효한가? 소상공인이 줄어들고 있으니 오히려 뛰어들어야 한다는 내용에 선뜻 공감이 가지는 않았다. 근본적으로 어느정도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일이니 가능한 '투자'가 아닌가. 자본 없는 투자가 가능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