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문화인류학인 게시물 표시

거의 완벽에 가까운 사람들, 마이클 부스

거의 완벽에 가까운 사람들 -거의 미친 듯이 웃긴 북유럽 탐방기 마이클 부스 지음/ 김경영 번역/ 글항아리 세계행복보고서는 최신 ‘행복’ 연구, 즉 갤럽 조사, 세계가치조사, 유럽가치조사, 유럽사회조사 등을 모두 합계했다. 결과는 어땠을까? … 덴마크가 또다시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꼽혔고, 핀란드가 2위, 노르웨이가 3위, 스웨덴이 7위로 바싹 뒤쫓았다. p.11 북유럽의 모든 것을 향해 전 세계는 더 뜨겁게 열광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현대의 바이킹 문화는 전례없이 승승장구했다. p.13 “세상 어딘가에 평범한 재능과 소득을 가진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다면 바이킹으로 태어나고 싶을 것이다.” 영국의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북유럽을 주제로 한 특별호에서 약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P.21 다음으로 실행에 옮긴 전략은 ‘긍정적 편협주의’라고 볼 수 있다. 덴마크는 잔이 반이나 찼다는 세계관을 취했다.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의 잔이 ‘그때’ 반이 차 있었기 때문이며, 그런 세계관이 오늘날까지 떠들썩하게 치켜세워지는 덴마크 사회의 성공 비결로 보인다. 물론 수많은 요인이 합쳐져 국민 정서를 만든다. 내가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있기는 하지만, 고립성을 향한 이 같은 편협주의적 충동과 그에 수반되는 민족낭만주의 성향은 지금도 덴마크스러움의 결정적 요소다. 이는 모든 덴마크인이 지금도 외우는 다음의 말로 요약된다. “밖에서 잃은 것은 안에서 찾을 수 있다.” p.40 덴마크인은 나이, 계층, 세계관과 상관없이 사이좋게 지내는 보기 드문 재능을 가진 듯싶다. 평등은 그들에게 자연스러운 일이다. … 물론 덴마크가 기본적으로 하나의 거대한 중산층이며 흔히 말하는 것처럼 사실상 계급 차별이 없는 사회인 까닭도 있다. … 그것은 홀스트의 시구 “밖에서 잃은 것은 안에서 찾을 수 있다”처럼 모든 덴마크인이 외우고 있으며 N.F.S. 그룬트비가 쓴 문장이다. “부자가 적고 가난한 사람은 더 적을 때 우리 사회는 평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