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정유정인 게시물 표시

종의기원, 정유정

종의기원 정유정/은행나무 나는 한 발짝 떨어진 곳에 서서 멍하니 바라보았다. 어머니가 미간에 깊은 주름을 잡고 이마를 찡그리는 것을, 코와 뺨이 동시에 빨개지는것을, 칼날이라도 삼키는 양 어렵사리 침을 넘기는 것을. 3차방정식 같은 표정이었다. 복잡하고도 낯선 얼굴이었다. 해진처럼 슬픈 것인지, 해진의 슬픔 때문에 마음이 아픈 것인지, 해진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것인지, 내가 알아서 할 테니 이제 걱정 말라는 것인지. 전부 다인지, 모두 아닌지.  p.104-105 운명은 제 할 일을 잊는 법이 없다. 한쪽 눈을 감아줄 때도 있겠지만 그건 한 번 정도일 것이다. 올 것은 결국 오고, 벌어질 일은 끝내 벌어진다. 불시에 형을 집행하듯, 운명이 내게 자객을 보낸 것이었다. 그것도 생의 가장 중요한 순간에, 가장 잔인한 방식으로. p.139 "40년 결혼 생활 끝에 아내를 도끼로 찍어 죽이고 토막 낸 명망 있는 의사, 두 번이나 은행을 털고도 법의 선처를 받은 운 좋은 도둑놈, 남동생을 욕조에 눕혀 죽이고 자기도 목을 맨 아름다운 첼리스트......." 이런 사람들을 변호했다는 한 변호사가 쓴 책이었다. 그의 말을 나는 이렇게 읽었다. 도덕이란, 말이 되는 그림을 그려 보이는 것이다.  p.144 한동안 망설인 끝에 녀석은 장황한 문학적 수사를 늘어놓았다.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대략 이런 말이었다.  내가 아흔여덟살 쯤 먹어 죽음을 눈앞에 뒀을 때, 신이 나를 데리러 와서 네 인생 어디쯤에 한번 들렀다 가고 싶으냐고 물으면, 세상이 스르르 사라지던 어젯밤 그 순간으로 가고 싶다고 대답하겠다.  세상이 스르르 사라지는 게 어떤 느낌일까.  p.187 망각은 궁극의 거짓말이다. 나 자신에게 할 수 있는 완벽한 거짓이다. 내 머리가 내놓을 수 있는 마지막 패이기도 하다. 어젯밤 나는 멀쩡한 정신으로 감당할 수 없는 일을 저질렀고, 해결책으로 망각을 택했으며, 내 자신에게 속아 바보짓을 하며 하루

28, 정유정

링고는 자기 안에서 들려오는 '목소리'를 들을 줄 알았다. 그것은 자신의 전부를 걸어 어느 순간에 집중하게 한다는 점에서 욕망이고, 느낌을 기준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육감이며, 충동을 누르고 때를 기다리게 한다는 점에선 자기명령이었다. p.43 그녀는 움켜쥔 손을 슬그머니 등 뒤로 숨겼다. 목이 답답해왔다. 하고 싶은 말이 목젖 밑에서 신물처럼 솟구쳤다. 그때 살려고 애쓰는 것 말고 무엇이 가능했겠느냐고. 삶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다. 본성이었다. 생명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본성. 그가 쉬차를 버리지 않았다면 쉬차가 그를 버렸을 터였다. 그것이 삶이 가진 폭력성이자 슬픔이었다. 자신을, 타인을, 다른 생명체를 사랑하고 연민하는 건 그 서글픈 본성 때문일지도 몰랐다. 서로 보듬으면 덜 쓸쓸할 것 같아서. 보듬고 있는 동안만큼은 너를 버리지도 해치지도 않으리란 자기기만이 가능하니까. p.346 = 흡입력 하나 대단하다. 정말이지 문장을 돌아볼 겨를도 없었다. 뭔가 전에 그려보지 않은 소재와 시선이 주는 생경한 충격에 완전히 압도당한 기분이랄까. 다 읽은 뒤에 잠이 들었는데 그날 밤 다시 못꿀 것 같은 해괴한 개꿈을 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