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수필인 게시물 표시

소설가의 일, 김연수

소설가의 일 김연수 문학동네(2014) 재능에 대해서 말하는 것을 그만두고 실제로 글을 써보면 재능은 '잠겨 있지 않으며 비밀 같은 게 아니라 진실만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리라. 재능은 당신을 위해서 대신 소설을 써주지 않는다. 그건 가짜 소설기계이니까. p.23-24 그럼에도 작가들은 잘 죽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작품만큼이나 그 작품을 쓰는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작품과 작가는 동시에 쓰여진다. 작품이 완성되는 순간 그 작가의 일부도 완성된다. 이 과정은 어떤 경우에도 무효화되지 않는다. 만약 국가가 한 작가의 작품을 모두 불태운다고 해도 그 작품을 쓰기 전으로 그를 되돌릴수는 없다. 한 번이라도 공들여 작품을 완성해본 작가라면 그 어떤 비수에도 맞설 수 있는 힘의 원천을 안다. p.28 사랑하는 재능을 확인한 뒤에야 사랑에 빠지는 사람도 있을까? 그러니까 사랑에 빠진 젊은 소설가여, 매일 그걸 해라. p.31 "그녀는 질투심이 강한 여자였다"라는 관념에 세부 정보라는 빛을 쪼이면 소설의 문장이 나온다. 질투심이 강한 여자의 눈빛은 어떻게 생겼는가? 질투심이 강한 여자는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가? 질투심이 강한 여자는 언제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는가? 소설의 문장이라는 건 이같은 질문에 대답하는 과정에서 얻어진다. p.35 아는 사람은 쓰지 못하고, 쓰는 사람은 알려고 하지 않는다. 느끼려고 할 뿐. 더 많이 느끼고 싶다면, 늘 허기지게, 늘 바보처럼 굴어야 한다. 미식가보다는 지금 자기 앞에 놓인 이 평범한 일상을 강렬하게 맛볼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만 한다. p.224 = 쓴다는 것은 지난하고 피곤한 활동이다. 그저 그런 말들로 문장을 조합해내는것은 어쩌면 다른 여느 일보다 손쉬운, 때로 무의식적인 행동이다. 얘기가 달라지기는 건 단어 하나하나와 그들 사이의 화학작용에 조금씩 욕심을 내기 시작하는 순간이다. 선뜻 손대기조차 힘들 정도로 펜을 들기 조심

내 옆에 있는 사람, 이병률

  내 옆에 있는 사람 이병률 달(2015) 만약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거든 많이 먹지 말고 속을 조금 비워두라. 잠깐의 창백한 시간을 두라. 혼자 있고 싶었던 때가 있었음을 분명히 기억하라. 어쩌면 그 사람이 누군가를 마음에 둘 수도 있음을, 그리고 둘 가운데 한 사람이 사랑의 이사를 떠나갈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라. 다 말하지 말고 비밀 하나쯤은 남겨 간직하라. 그가 없는 빈집 앞을 서성거려보라. 우리의 만남을 생의 몇 번 안 되는 짧은 면회라고 생각하라. 그 사람으로 채워진 행복을 다시 그 사람을 행복하게 함으로써 되갚으라. 외로움은 무게지만 사랑은 부피라는 진실 앞에서 실험을 완성하라. 이 사람이 아니면 죽을지도 모른다는 예감과 함께 맡아지는 운명의 냄새를 모른 체하지 마라. 함께 마시는 커피와 함게 먹는 케이크가 이 사람과 함께가 아니라면 이런 맛이 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라. 만날 때마다 선물 상자를 열 듯 그 사람을 만나라. 만약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거든. 문득 길을 가다 만나는 찐빵 가게에서 솥 바깥으로 치솟는 훈김 같은 것. 사랑은 그런 것. 호기롭게 사두었다가 오 년이 되어도 읽지 못하는 두꺼운 책의 무거운 내음 같은. 사랑은 그런 것. 여행지에서 마음에 들어 샀지만 여행을 끝나고 돌아와서는 입을 수 없는 옷의 문양 같은 것. 머쓱한 오해로 모든 것이 늦어버려 아물어지지 않는 상태인 것. 실은 미안하지만 동시의 누구의 잘못도 아닌 것. 들의 입자처럼 촘촘하지만 실은 헐거운 망사에 불과한 것. 사랑은 그런 것. 백년 동안을 조금씩 닳고 살았던 돌이 한순간 벼락을 맞아 조각이 돼버리는 그런 것. 시들어버릴까 걱정하지만 시들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시들게 두는 것. 또 선거철에 거리의 공기와 소음만큼이나 어질어질한 것. 흙 위에 놀이를 하다 그려놓은 선들이 남아 있는 저녁의 나머지인 것. 마취를 해도 마취가 안 되는 기억의 부위가 하나쯤 있었으면 한다 그것으로 가끔은 화들짝 놀라고 다치고 앓겠지만 그런 일 하나쯤 배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