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14의 게시물 표시

행복한 사전(2013)

이미지
舟を編む(2013) 감독: 이시이 유야 출연: 마츠다 류헤이, 미야자키 아오이, 오다기리 죠 "서쪽을 향해 섰을때 북쪽이 오른쪽입니다." "말의 의미를 알고 싶다는 건 누군가의 생각이나 감정을 정확히 알고 싶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다른 사람과 이어지고 싶다는 소망은 아닐까요?" "사랑: 어떤 사람을 좋아하게 되어 자나깨나 그 사람 생각이 떠나지 않고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게 되며 몸부림치고 싶어지는 마음의 상태. 이루어지면 하늘에라도 오를 듯한 기분이 된다." "'감사' 라는 단어 이상의 단어는 없는지 저 세상이 있다면 거기서 용례 채집을 해 볼 생각입니다." 초등학교 3학년 때였나, 4학년 때였나. 책에 푹 빠져 지내던 나는 갓 생긴 학교 도서관이 문을 닫을 때까지 집에 가지 않았다. 글의 세계는, 그리고 말의 세계는 무궁무진했다. 읽어도 읽어도 끝이 없었고 언제나 새로운 말들이 불시에 튀어나왔다. 사전을 끼고 책을 읽었다. 그러다 나는 사전을 읽기 시작했었다. 'ㄷ'의 중간까지 읽었던 걸로 기억한다. 어쩌다 사전을 읽을 생각을 했는지 어떤식으로든 좋은 영향을 받았으리란 생각에 지금 돌이켜봐도 스스로 기특한 기분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나는 자라나며 기계 문명의 혜택을 지나치게 받게 됐고 종이사전으로부터는 점점 멀어져갔다. 공부를 하겠답시고 책상머리에 앉은 중학교 때부터 전자사전이 필수품이 됐고 대학에 진학해서는 휴대폰의 사전 기능에 자꾸만 손이 갔다. 영화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부터 조금은 부끄러웠다. 한때 사전에 남다른 애착을 가졌던 사람으로서 사전은 누가, 어떻게 만드는가에 대해선 진지한 고민을 해보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행복한 사전'은 사전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 대한 대답을 길고 느린 호흡으로 풀어낸다. 경이에 가까운 그 작업은 부족

윤일병 잘 가요

“네가 한알의 밀알 되기를… 사랑한다, 아들아” “4월 5일 네가 전화했을 때. ‘엄마 (면회) 오지 마. 4월은 안돼’ 했을 때. 미친 척하고 부대로 찾아갔더라면…. 면회가 안 된다는데 찾아가면 혹시 너에게 불이익이 있을까봐 엄마는 그저 주저앉고 말았단다. ○○야, 정말 미안하다. 바보 같은 엄마를 용서해라.” 육군 28사단에서 선임병들의 가혹행위로 숨진 윤모(20) 일병의 어머니 안모(58)씨가 8일 저녁 서울 용산구 국방부 앞에 갔다. 군인권센터가 주최한 ‘윤 일병과 또다른 모든 윤 일병들을 위한 추모제’에 참석해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읽었다. 아들의 전화를 받고도 혹독한 상황을 눈치채지 못했던, 혹시 아들이 불편할까봐 꾹 참고 면회를 포기했던 엄마는 한맺힌 눈물을 흘렸다. 안씨는 오후 9시20분 한손에 손수건을 들고 추모제 무대에 섰다. 흐느끼며 편지를 읽어내려갔다. “보고 싶고 또 보고 싶은 사랑하는 아들. 네가 하나님 품으로 떠난 지 벌써 넉 달이 지나고 있구나. 엄마는 그 시간을 어떻게 살아냈는지. 제발 꿈이었다면….” 아들의 ‘사고’를 접한 날은 이렇게 회고했다. “4월 6일 네가 의식을 잃고 이송되고 있다는 비보를 듣고도 병원으로 달려가는 차 안에서 이런 생각을 했단다. 훈련소 퇴소 후 한번도 만나지 못한 네가 얼마나 가족이 보고 싶었으면, 하나님이 이렇게라도 네 얼굴을 보여주시려고 한 게 아닌가.” 한걸음에 달려간 병원 응급실에는 “너무나도 참혹한 모습으로 힘없이 누운” 아들이 있었다. 그 모습에 안씨는 “하늘이 무너지고 아무것도 할 수 없어 정신을 차릴 수 없었다”고 했다. 하루하루 고통과 피눈물로 살아간다는 어머니의 고백이 이어지자 다른 희생자 유족과 시민들도 울음을 터뜨렸다. 안씨는 “늘 부족했던 부모에게 불평 한번 않고, 장학금을 받고, 방학이면 개학 하루 전까지 아르바이트해서 번 돈으로 부모님 용돈까지 챙겨주던 속 깊은 아들”이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편지는 이렇게 마무리됐다. “네가 한 알의 밀알로 이 땅에 썩어져 널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