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

낯선 사랑방과 뜻밖의 대화


2014년 가을이었다. 아파트 단지 입구에 다코야키를 파는 푸드 트럭이 나타났다. 홍등을 주렁주렁 매단 이 작은 트럭 주인은 삼십대 중반이 될까 말까한 청년이었다. 그는 다코야키 4개를 1000원에 팔았다. 자주는 아니었지만 잊을만하면 한 번씩 트럭이 그 자리에 나타났다. 저녁 어스름이면 자리를 정리하는가 싶더니 더러는 매일 해가 넘어간 뒤까지 등을 밝히고 손님을 맞았다. 한 달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기도 했다.

 내가 스무 해를 보낸 이 동네는 신도시도 구도시도 아닌 서울 외곽의 베드타운이다. 붐비지도 않고 적적하지도 않은 상태로 별다른 변화 없이 늘 조용한 편이다. 그래서 푸드 트럭을 몰고 홀연히 나타나 타코야끼를 파는 젊은 남자는 분명 꽤나 낯선 존재였다. 조금은 아련하기도 했다. 한때 자리를 지키던 달고나, 국화빵 같은 노점상들이 유년의 기억과 함께 자취를 감춘 지도 오래였기 때문이리라. 타코야끼 맛이 특별하지는 않았다. 엄마는 말했다. “젊은 사람이 열심인거 같아 눈여겨봤는데 장사가 제법 잘 되는 모양이야.”

 장사는 지나치게 잘 됐다. 트럭 앞에는 자주 긴 줄이 늘어섰다. 그보다 눈길을 끄는 건 트럭을 둘러싼 훈기였다. “학원가니? 오늘 늦었네!” 잰 손으로 타코야끼를 만들던 청년이 목청껏 이름을 불렀다. 커다란 책가방을 메고 곁을 지나치던 아이는 꾸벅 인사를 했다. 그가 이름을 부르는 아이는 한둘이 아니었다. “여덟 개 해주세요. 10분 뒤에 들를게요.” 장 보러 가던 아주머니 ‘예약’에는 잔뜩 신난 청년의 목소리가 뒤따르기도 했다. 줄을 기다리는 손님들은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웠다. 그런 장면들이 집으로 향하던 내 발걸음을 때때로 멈추게 했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인지 궁금했다. 트럭은 예고 없이 찾아오는 동네 사랑방이 돼 있었다.

 그해 겨울이 돼서야 나는 비로소 그 알 수 없는 따듯함의 뿌리를 봤다. 빗방울이 듣기 시작한 늦은 오후였다. 청년은 둘 뿐인 손님과 이야기를 나누는데 여념이 없었다. 금발 청년 하나와 재미교포 청년이었다. 지나치려다가 타코야끼 8개를 주문하고 귀를 기울였다. 두 손님은 전도 여행을 왔다고 했다. 타코야끼 청년이 대화를 이끌었다. 그는 이국에서 온 손님들의 이름과 고향, 꿈과 취미를 물었다. 신의 존재와 한국의 인상을 물었고, 여행 도중 겪은 어려움은 없었는지도 물었다. 우리말이 어눌한 재미교포 청년은 한껏 들뜬 목소리로 더듬더듬 대답을 이어갔다. 쉽게 알아듣기 힘든 발음도 많았는데 타코야끼 청년은 친절하게 기다리고 고쳐줬다. 곧 열 살 남짓한 아이 하나가 천 원 짜리 한 장을 들고 달려왔다. 청년은 “비가 와서 날이 춥지 않냐”며 또 살갑게 말을 붙였다.

 그는 번거로움을 무릅쓰며 대화를 이어가고 있었다. 묻고, 듣고, 이야기하고, 웃고, 또 들었다. 더없이 선한 표정을 한 채였다. 말상대를 가리지도 않았다. 필요 아닌 관심에서 우러나는 뜻밖의 대화가 한때 흔한 미덕이었으나 언젠가부터 귀한 경험이 된 세상이다. 선의의 친절 뒤에 숨은 악의가 있진 않을까 의심하도록 길들여진 세상이기도 하다. 거기서 청년은 묵묵히 침묵을 깨고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었다. 그는 천원 어치의 타코야끼를 팔면서 그보다 값진 사람들의 마음을 사고 있었다. 타코야끼 청년의 수완 아닌 수완이자 비결 아닌 비결이었다.

 그 뒤로 종종 타코야끼 트럭을 마주쳤지만 꽤 오랫동안 부러 들르지 않았다. 혹시 청년이 그날따라 언짢아서 말이 없거나 평소보다 퉁명스러울까봐서 그랬다. 남몰래 느끼고 간직한 감동이 환상처럼 깨지는 게 두려웠다. 필요한 대화조차 생략되는 광경을 자주 목격했기 때문에 지레 겁을 먹었다. 당사자들에게는 말 한마디 않고 위안부 문제에 돌이킬 수 없는 종지부를 찍는다거나, 코흘리개 아이들 보육비 문제를 머리 맞대고 풀어보자는 요구에 묵묵부답인 그런 종류의 일들이 이어졌으니까. 기자생활을 하면서 사람에 치일 때면 그 청년이야말로 기자가 돼야 한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대신 유달리 지친 하루를 보내고 집으로 가는 길에 자주 ‘오늘 타코야끼 트럭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곱씹는 날도 늘었다. 기대를 품고 길모퉁이를 돌 때 홍등이 보이면 안도했다. 정겹게 안부를 물어주거나 시시콜콜한 얘기를 모두 들어줄 듯한 작은 트럭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됐다. 자리가 비어 있을 때면 헛헛한 기분마저 들었다.

 청년을 마지막으로 본 건 지난해 크리스마스 무렵이다. 그는 짧아진 해를 따라 장사를 정리하고 있었다. 다음번에 트럭을 만나면 꼭 타코야끼를 잔뜩 주문하면서 새해 인사를 건넬 생각이다. “친절한 말들은 짧고 꺼내기 쉬울 수 있지만 그 메아리는 진정 끝이 없다.” 테레사 수녀의 말이다. 필요하지는 않아도 따듯한 말을 주고받을 수 있는 용기를 냈으면 좋겠다. 저마다 누군가에게 그렇게 사소한 위로가 되는 한해를 보냈으면 한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05&aid=0000858890

괜히 나섰다가 격주 토요일 돌아오는 오피니언면 창 코너 필진 맡게 됐다. 쓰고픈 맘이 마구마구 우러나서 일필휘지로 써내려간 글이 아니라 썩 맘에 들진 않지만, 나름 오피니언면 첫 등단이라는 차원에서 초고도 함께 보관하기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해피투게더 (1997)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인턴 (2015)

2015년 11월 4일 수요일 10개 일간지 1면

사람, 장소, 환대, 김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