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기원, 정유정
종의기원
정유정/은행나무
나는 한 발짝 떨어진 곳에 서서 멍하니 바라보았다. 어머니가 미간에 깊은 주름을 잡고 이마를 찡그리는 것을, 코와 뺨이 동시에 빨개지는것을, 칼날이라도 삼키는 양 어렵사리 침을 넘기는 것을. 3차방정식 같은 표정이었다. 복잡하고도 낯선 얼굴이었다. 해진처럼 슬픈 것인지, 해진의 슬픔 때문에 마음이 아픈 것인지, 해진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것인지, 내가 알아서 할 테니 이제 걱정 말라는 것인지. 전부 다인지, 모두 아닌지.
p.104-105
운명은 제 할 일을 잊는 법이 없다. 한쪽 눈을 감아줄 때도 있겠지만 그건 한 번 정도일 것이다. 올 것은 결국 오고, 벌어질 일은 끝내 벌어진다. 불시에 형을 집행하듯, 운명이 내게 자객을 보낸 것이었다. 그것도 생의 가장 중요한 순간에, 가장 잔인한 방식으로.
p.139
"40년 결혼 생활 끝에 아내를 도끼로 찍어 죽이고 토막 낸 명망 있는 의사, 두 번이나 은행을 털고도 법의 선처를 받은 운 좋은 도둑놈, 남동생을 욕조에 눕혀 죽이고 자기도 목을 맨 아름다운 첼리스트......." 이런 사람들을 변호했다는 한 변호사가 쓴 책이었다. 그의 말을 나는 이렇게 읽었다. 도덕이란, 말이 되는 그림을 그려 보이는 것이다.
p.144
한동안 망설인 끝에 녀석은 장황한 문학적 수사를 늘어놓았다.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대략 이런 말이었다.
내가 아흔여덟살 쯤 먹어 죽음을 눈앞에 뒀을 때, 신이 나를 데리러 와서 네 인생 어디쯤에 한번 들렀다 가고 싶으냐고 물으면, 세상이 스르르 사라지던 어젯밤 그 순간으로 가고 싶다고 대답하겠다.
세상이 스르르 사라지는 게 어떤 느낌일까.
p.187
망각은 궁극의 거짓말이다. 나 자신에게 할 수 있는 완벽한 거짓이다. 내 머리가 내놓을 수 있는 마지막 패이기도 하다. 어젯밤 나는 멀쩡한 정신으로 감당할 수 없는 일을 저질렀고, 해결책으로 망각을 택했으며, 내 자신에게 속아 바보짓을 하며 하루를 보낸 셈이었다.
p.206
나는 생각을 해보려 애썼다. 난파당한 스물여섯 해 내 삶에 대해, 문박에 들이닥친 생의 12월에 대해,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들에 대해. 그 많은 생각 중에 나를 구원해줄 기도문 같은 건 없었다. 희망은 미끄덩거리는 비누처럼 손아귀를 빠져나갔다. 수압처럼 무겁고 서풍처럼 싸늘한 두려움이 몸을 조여왔다. 돌아갈 길도, 수습할 여지도 없다는 점에서 절망적인 두려움이었다.
p.216
쓸모없고 때늦은 질문이 심장을 죄어왔다. 어머니가 내 말을 믿어줬다면, 이 기사를 쓴 기자처럼 그 일이 사고라고 믿었더라면, 우리의 운명이 조금쯤 달라졌을까. 어머니의 소망대로 나는 무해하고 평범한 사람이 되었을까. 그리하여 오래오래 오순도순 살 수 있었을까.
p.324
얼굴이 곧 화면이었던 해진은 이제 내 앞에 없었다. 친구이자 형제로 살아온 10여 년도 존재하지 않는 것 같았다. 지층처럼 단단하게 쌓였다고 믿어온 것 역시. 믿음, 배려, 이해, 연민....... '사랑'이라는 이름 안에 수렴되는 수많은 감정들. 어쩌면 사랑이라는 감정 자체가 신의 의도가 아닌지도 몰랐다. 만약 그것이 신의 뜻이었다면, 세상을 창조할 때 만물이 만물을 사랑하는 관계로 설계했어야 한다. 서로 잡아먹으면서 살아남는 사슬로 엮는 게 아니라.
p.361
=
인간의 악, 그 심연을 들여다보는 데 능숙한 작가다.
1인칭 시점으로 무덤덤하게 흘러가는 소설을 따라 심장이 쿵쾅쿵쾅 뛰었다. 머릿속에선 순식간에 선혈이 낭자한 영화의 한장면이 그려졌다.
작가가 유진의 목소리로 소설을 이끌어가기 위해 얼마나 분투했을지가 눈에 선했다.
특히 그가 싸이코패스라는 부분을 암시하는 심리 묘사들이 감각적이었다. 감정을 읽을 줄 모르는데 그 사실조차 모르는, 어찌 보면 천진난만한 무관심함.
싸이코패스의 발현은 후천적인 걸까 선천적인 걸까 막을 수 있는 걸까 불가역적인 본능인 걸까. 그들은 정녕 무슨 생각으로 살아가는가. 여러가지 고민을 남겨준 소설이다.
도덕이란 말이 되는 그림을 그려보는 일이라는 말은 특별히 섬칫하다. 싸이코패스가 아닌 뭇 현대인들이 은연중에 저마다 품고 살아가는 윤리관이 그러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기 때문이다.
유진이 어머니의 바람 대로 '무해하게' 변호사가 됐더라면 꽤나 유능했을 법해서 씁쓸했다.
인간의 악, 그 심연을 들여다보는 데 능숙한 작가다.
1인칭 시점으로 무덤덤하게 흘러가는 소설을 따라 심장이 쿵쾅쿵쾅 뛰었다. 머릿속에선 순식간에 선혈이 낭자한 영화의 한장면이 그려졌다.
작가가 유진의 목소리로 소설을 이끌어가기 위해 얼마나 분투했을지가 눈에 선했다.
특히 그가 싸이코패스라는 부분을 암시하는 심리 묘사들이 감각적이었다. 감정을 읽을 줄 모르는데 그 사실조차 모르는, 어찌 보면 천진난만한 무관심함.
싸이코패스의 발현은 후천적인 걸까 선천적인 걸까 막을 수 있는 걸까 불가역적인 본능인 걸까. 그들은 정녕 무슨 생각으로 살아가는가. 여러가지 고민을 남겨준 소설이다.
도덕이란 말이 되는 그림을 그려보는 일이라는 말은 특별히 섬칫하다. 싸이코패스가 아닌 뭇 현대인들이 은연중에 저마다 품고 살아가는 윤리관이 그러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기 때문이다.
유진이 어머니의 바람 대로 '무해하게' 변호사가 됐더라면 꽤나 유능했을 법해서 씁쓸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