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함의 난이도

평범함의 난이도


뛰어나거나 색다른 점이 없이 보통이다. 누군가 당신을 두고 이런 말을 한다. 여러 가지 생각이 들 수 있겠다. 크게는 두 갈래로 나뉠 것이다. 조금은 섭섭하거나, 안도감에 가슴을 쓸어내리게 되거나. 잘난 것도 특별한 것도 없이 흔하다는 것, 곧 당신이 평범하다는 얘기다. ‘뛰어나거나 색다른 점이 없이 보통이다’라는 문장은 형용사 ‘평범하다’의 뜻풀이다. 정의가 딱 한 줄일 뿐인 이 간단한 단어를 두고 저마다 각기 다른 모양새로, 평생 사투를 벌인다. 평범함에 대한 모순적인 욕망과 압력 때문이다.

“우리 아들은 말이 유독 빨랐어.” “우리 딸은 한번 가본 길을 전부 기억하더라고.” 모든 아기들이 각양의 방식으로 비범하다. 탄생의 순간부터 자라는 내내 무엇인가 특출할수록 좋다. 상당수는 영재가 아닐까 하는 기분 좋은 오해도 받는다. 뭐라도 남다르기를 처음에는 부모가 원하고, 결국에는 자신이 한동안 바란다. 저마다 이것저것 시도하고 부단히 노력한다. 비범함을 동경해서다. 평범함은 겉보기에 누구나 갖고 있는 것 같은 특성이다. 뭇 사람들보다 더 나은 걸 누리리라 다짐하는 이들이 한때 그 소박한 축복을 얕보는 이유다.

그러나 특별해지겠다는 결심은 주류(主流)의 존재를 알게 되는 무렵부터 흔들리기 십상이다. 다른 것을 틀린 것으로 여기는 주류의 작동원리와 비범함의 본질이 부딪히기 때문이다. 충돌의 여파로 복잡한 욕망이 생겨난다. 주류에 속하면서도 조금 더 잘되고 싶은, 월등하게 평범하겠다는 의지 같은 것 말이다. 남들만큼은 해야만 할 과업들이 최후 방어선처럼 거기서 하나둘 늘어난다. 학교를 마치고, 대학에 가고, 연애를 하고, 직장을 구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 기르며 늙어가는 것. 남들처럼, 평범하게. 비범한 사람들은 더욱 고되고 극히 일부만 평범 이상에 간신히 이르더라는 풍문이 두런거리며 맞장구친다. 은근한 폭력이다.

대부분 사람은 세상의 아우성을 못이기는 척 일단 평범해보기로 작정하게 된다. 진짜 전쟁도 그때부터 시작이다. 별것 아닌 듯했던 평범함이 신기루처럼 아득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불현듯 찾아오는 것이다. 쉬운 줄 알았던 것들이 결코 쉽지 않다.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도리가 없다. “졸업하면 취업하는 게 자연스러운 수순이 아니더라.” “다음 관문들도 마찬가지야.” 말이 빨랐던 아이들과, 한때 영재인 줄 알았던 아이들이 삶의 봄날 한가운데서 고개를 가로젓는다. 평범함조차 감히 꿈꾸기 어려운 척박한 때다.

생의 문턱마다 보통을 향해 발버둥치다 단념한 사람이 수두룩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구직 포기 청년이 3년5개월 만에 처음 증가세로 돌아섰다. 국내 소비는 지난해 11월부터 올 1월까지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9년 만이다. 신혼부부는 번 돈을 단 한 푼도 쓰지 않고 12년 넘게 모아야 서울에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다. 지난해 성사된 혼인은 28만1700건에 불과했다. 1974년 이후 최저치다. 지난해 태어난 아이는 40만6300명, 역시 1970년 이래 제일 적었다. 코흘리개들이 장래희망으로 회사원, 공무원, 엄마, 아빠를 적으면 어른들은 피식 웃던 때가 있었다. 지금은 아니다.

평범하겠노라고 마음을 먹어도 평범하기 어려운 시절을 원망해야 할까. 아니면 평범의 기준을 새로 써야 할까. 청춘들은 이 땅을 망설임 없이 지옥이라 부른다. 환경이, 제도가 문제라는 말도 충분한 위로가 못 된다. 더러는 주제넘은 눈높이나 철없는 욕심 때문이라고, 오히려 취업준비생들과 고스펙 여성들을 탓한다. 정부는 퇴근을 일찍시켜 줄 테니 쇼핑 좀 하는 게 어떻겠냐고 말한다. 이런 얘기들이 대책이라는 이름하에 쏟아지며 여러 사람을 아프게 한다. 평범하기를 선택하는 것조차 버거운 삶의 고단함은 아주 먼 데 있다는 듯이.

건강한 세상에서는 누구나 남들과 다른 길로 떠날 수 있다. 특별해지는 방식도 스스로 택할 수 있다. 평범해지는 것이 쉽긴 하지만 그것만이 절대적인 미덕은 아닌 사회여야 훨씬 많은 사람이 행복할 것이다. 고장이 난 세상을 틈타 법의 테두리 밖에서 특별해지려 했던 사람들이 겨우내 심판대 위를 오르내렸다. 정호승 시인의 ‘봄길’은 이런 문장으로 시작된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있다’. 봄이 오면 선거로, 정책으로, 새로운 무엇인가로 평범함의 난이도도 조금은 조정될 수 있을까. 의심과 기대가 한데 뒤섞여 아지랑이처럼 피어오른다.


===

저장용
2017년 3월 4일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05&aid=000097531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해피투게더 (1997)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인턴 (2015)

2015년 11월 4일 수요일 10개 일간지 1면

사람, 장소, 환대, 김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