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19의 게시물 표시

버스정류장

이미지
부서진 날개로 날아와 한동안 머물던 너를 버스에 데리고 탈 수는 없어서 황급히 쫓아보냈네 여름이 끝나버렸네 2019. 08. 31.

이장욱, 꽃잎, 꽃잎, 꽃잎

꽃잎, 꽃잎, 꽃잎 이장욱 무섭다 결국 그곳엔 아무도 없을 것이다 무섭다 마음이 무섭고 몸이 무섭고 싹 트고 잎 피고 언제나 저절로 흐드러지다가 바람 불어 지는 내 마음속 꽃잎 꽃잎, 그대가 무섭다 나는 너무 오랫동안 하나의 육체로만 살아왔으므로 아주 정교하게 정렬해 있는 하나의 고요한 세상을 지니고 있으니, 무섭다 그러나 나는 나를 이끄는 매혹에 최선을 다해 복종하였으므로 내 고요한 세상에 피고 지는 아름다운 모반을 주시하였다 그대가 처연히 휘날려 내 몸과 마음이 어지러울 때 단 한번도 나는 봄 여름 가을 겨울 흘러가는 나의 사랑을 의심하지 않았으므로 기억을 만나면 기억을 죽이고 불안을 만나면 불안을 죽이고, 그러므로 이제 이 눈과 코와 입과 귀를 막아 새로운 세상을 보게 하시길 그대에게 익숙한 세상으로 나를 인도하여 그대 몸과 마음에 피고 지는 싹과 잎과 꽃이 되게 하시길 너무 오랫동안 하나의 육체로만 살아왔으므로 아주 정교하게 정렬해 있는 이 고요한 세상을 처연히 흩날리도록, 내 몸과 마음의 꽃잎 꽃잎 피고 지는 그곳에 기다리는 이 아무도 없을지라도 이장욱 시집, <내 잠 속의 모래산> 민음의 시 111 = 이미 흐드러진 마음을 지키기 위해 의심 없이 흔들림 없이 기억과 불안을 죽이며 견디는 것. 나약하나 고귀하다.

한강, 새벽에 들은 노래 3

새벽에 들은 노래 3 한강 나는 지금 피지 않아도 좋은 꽃봉오리거나 이미 꽃잎 진 꽃대궁 이렇게 한 계절 흘러가도 좋다 누군가는 목을 매달았다 하고 누군가는 제 이름을 잊었다 한다 그렇게 한 계절 흘러가도 좋다 새벽은 푸르고 희끗한 나무들은 속까지 얼진 않았다 고개를 들고 나는 찬 불덩이 같은 해가 하늘을 다 긋고 지나갈 때까지 두 눈이 채 씻기지 않았다 다시 견디기 힘든 달이 뜬다 다시 아문 데가 벌어진다 이렇게 한 계절 더 피 흘려도 좋다 한강,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438 = 밤마다 뜬눈으로 피흘리는 마음 바닥에는 어떤 아픔이 있는 걸까.  덤덤한듯 절제된듯 지르는 비명같은 목소리.

이제니, 코다의 노래

코다의 노래 이제니 손을 씻자 낯빛이 검어졌다. 내 어둠의 깊이를 헤어리는 밤. 오래된 망상과 코카콜라와 데스메탈과 카발라와 차오르는 귓구멍의 물기와 너와 나의 아득한 피킹 하모닉스. 나의 기타는 너무 많은 심장을 가진 것처럼 끊어지기 직전의 팽팽한 긴장으로. 새끼손가락이 짧은 나의 운지법은 더듬더듬 춤추듯 절룩거리고. 적막이란 적막 이전에 소리가 있었다는 말. 너무 많은 심장이 우리를 질식하게 한다. 생각한 그대로 끝에서 끝까지 밀고 나아가려 했던 것이 우리의 때아닌 조로의 이유. 너는 사각형의 소녀처럼 울었고 그 뾰족한 모서리가 무심히 나를 찔렀다. 뜬눈으로 꿈속을 들락거리다 다시 술 마시고 담배 피우고 술 마시고 담배 피우고, 시적인 문장을 찾으려 할 때마다 죄를 짓는 기분. 조금도 시적이지 않은 언어의 빙판 위에서 나 자신과 분리된 불안은 시적으로 미끄러지고. 당분간은 자살하지 않을 거라는 어제와 다를 바 없는 다짐을 하고. 이곳은 너무 어둡고 너의 개념은 모질고 한번도 내가 원한 자리에 놓여 있었던 적이 없고. 데크레센도 데크레센도 코다의 노래. 내가 바라는 건 아주 작고 희미한 것들뿐. 단 한 순간도 나 자신으로부터 달아나지 않는 것. 매순간 초연해지길 바라지만 혁명을 하기엔 책을 너무 많이 읽었고 풍경을 읊기엔 양심이 허락하지 않고 너는 또다시 성냥을 긋듯 손목을 긋고. 마음으로 악담을 퍼붓고 돌아서전 시절. 속쓰림과 배고픔과 후회와 반서이 아코디언 주름처럼 펼쳐졌다 접히기를 반복하고. 내겐 더이상 날개가 없다. <아마도 아프리카> 창비시선321 창비 = 끝나지 않을 것 같은 클라이막스여서 가장 완성도 높은 에필로그가 된다.  계속 더 나은 문장을 향해 나아가려는 갈증 같은 것이 담겼다.

김선우, 花飛, 먼 후일

花飛, 먼 후일 김선우 그날이 돌아올 때마다 그 나무 아래서 꽃잎을 묻어주는 너를 본다 지상의 마지막 날까지 너는 아름다울 것이다 네가 있는 풍경이 내가 살고 싶은 몸이니까 기운을 내라 그대여 만 평도 백 평도 단 한 뼘의 대지도 소속은 같다 삶이여 먼저 쓰는 묘비를 마저 써야지 잘 놀다 갔다 완전한 연소였다 김선우 시집 <녹턴> 문학과지성 시인선 483 = 사랑과 죽음 사이에 흐르는 차원 다른 몽환의 시간, 거기 미리 바친 애도의 노래들. 마지막 순간에 이토록 군더더기 없이 아름다운 말을 남기고 날아가는 꽃과 같이 갈 수 있다면.

김선우, 소울메이트

소울메이트 김선우 1 반쪽 빛을 찾아 헤메는 것이 아니라 반쪽 어둠을 찾아 영접하는 것이다. 영혼은 본래부터 완전하였다. 2 영혼의 혈거 그 바닥엔 우주먼지로 지어진 밥상 하나 그 위엔 먼지의 밥 한 그릇 숟가락 두 개 바라보며 나누어 먹으며 가끔 입가를 닦아주며 김선우 시집 <녹턴> 문학과지성 시인선 483 = 첫 행에서 쿵 했다. 완전한 영혼을 부수면서까지 어둠을 귀하게 끌어안는 것.

내게 무해한 사람, 최은영

내게 무해한 사람 최은영 / 문학동네 <지나가는 밤> 어린 시절은 다른 밀도의 시간 같다고 윤희는 생각했다. 같은 십 년이라고 해도 열 살이 되기까지의 시간은 그 이후 지나게 되는 시간과는 다른 몸을 가졌다고. 어린 시절에 함께 살고 사랑을 나눈 사람과는 그 이후 아무리 오랜 시간을 보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끝끝내 이어져 있기 마련이었다. 현실적으로 서로 아무 관계 없는 사람들로 살아간다고 할지라도. 무료하고 긴 하루하루로 이어진 시간, 아무리 노래를 부르고 그네를 타도, 공상에 빠져 이야기를 지어내도, 자신들이 작가이고 감독이고 배우이고 관객인 연극을 해도, 갈 수 있는 한 가장 먼 거리까지 달려간다고 해도 메워지지 않았던 커다랗고 텅 빈, 그 무용한 시절을 함께했다는 이유만으로. P. 97 얼마를 기다리든 결국 엄마는 왔다. 엄마 손을 잡고 집으로 걸어가던 길, 늘 엄마를 만날 수 있었던 그때의 기다림을 윤희는 아프게 기억했다. 어른이 된 이후의 삶이란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는 것들을 기다리고 또 기다려야 하는 일이었으니까. 윤희야, 온 마음으로 기뻐하며 그것을 기다린 자신을 반갑게 맞아주고 사랑해주는 것이 아니었으니까. P. 99 <모래로 지은 집> 모래는 사람을 무턱대고 의심하거나 나쁘게 보려 하지 않았다. 무엇이든 전전긍긍하지 않고 애쓰지 않았다. 관대했다. 그 관대함은 더 가진 사람만이 지닐 수 있는 태도라고 그때의 나는 생각했다. 비싼 자동차나 좋은 집보다도 더 사치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했다. P. 118 그때 나는 사랑이라는 말이 참 더럽다고 생각했어. 더러운 말이라고. 사랑이라는 말을 입에 올리는 사람을 경멸하고 또 경멸할 거라고 다짐했어. 나는 사람이 사랑한다는 것을 알지 못해. 어쩌면 사랑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건 무서운 일이라고, 두려운 일이라고 생각해. 사람들은 사랑이라는 알리바이로 아무 짓이나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걸까. P. 156 그때 나는 공무와 포옹하고

박준, 세상 끝 등대 3

세상 끝 등대 3 박준 늘어난 옷섶을 만지는 것으로 생각의 끝을 가두어도 좋았다 눈이 바람 위로 내리고 다시 그 눈 위로 옥양목 같은 빛이 기우는 연안의 광경을 보다 보면 인연보다는 우연으로 소란했던 당신과의 하늘을 그려보는 일도 그리 낯설지 않았다 박준,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519 = 그 모든 우연이 인연의 근거라고 믿었는데 이 시를 읽는 순간 그게 착각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저 소란한 우연에 들뜬 채 내달린 것일 뿐이었을까 싶어 쓸쓸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