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된다는 것

엄마가 된다는 것


아이들이 있었다. 열두살 난 소년부터 서너살배기 꼬마까지 네 명. 아버지가 다른 남매들이다. 그들의 존재는 비밀 그 자체다. 공식적으로 태어난 적이 없어서다. 사랑이 끝나고 짐짝처럼 아이가 남겨지는 일이 반복됐다. 혼인신고도, 출생신고도 없이 남자들이 떠난 뒤 남은 엄마가 할 수 있는 거라곤 거짓말 뿐이었다. 그녀는 비밀리에 꽁꽁 감춰 아이들을 길러냈다. 쉬운 일은 아니었다. 이 가족이 무너지기 시작한 건 엄마가 편지와 약간의 돈만 남긴채 아이들을 떠나면서부터다. 크리스마스가 되면 돌아오겠다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아이들은 두려웠고 외로웠고 배고팠고 힘겨웠지만 저마다의 동심을 발휘하며 끝까지 살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세상을 견디기에는 그 노력이 너무 연약했던걸까. 결국 막내가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난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2004년작 영화 '아무도 모른다' 얘기다. 먹먹한 마음이 가시지 않아 엔딩크레딧이 끝나고 정지된 화면에서 한참이나 눈을 떼지 못했다. 복잡한 심경을 굳이 한갈래로 정리하면 '충격'이라고 해야 할까. 영화의 모티브가 된 '실화'가 있었고 그게 영화보다 더했다는 사실이 충격을 배가시켰다. 1988년 도쿄에서 발생한 ‘스가모 어린이 방치 사건’. 엄마가 비밀리에 기르던 아이들 중 차남이 병사했는데 출생신고되지 않은 아이에 대한 매장 허가가 나올 리 없었다. 그녀는 죽은 아이를 비닐에 싸서 악취제거제와 함께 벽장 속에 넣었다. 그걸 보고 자란 장남이 훗날 죽은 동생을 비슷하게 암매장했다가 적발된다. 이 가족은 그렇게 세상 밖으로 나왔다. 

여러 감정이 뒤엉킨 충격은 불안으로 구체화됐다. 모성이 본능은 아닐지도 모른다는데서 시작된 불안이었다. 낯설지는 않았다. 수년전 린 램지의 영화 '케빈에대하여(We Need to Talk About Kevin:2011)'를 봤을 때도 한차례 겪었으니까. 우리는 알게모르게 모성애가 여성에게 내재된 본능적인 기질이라는 통념을 학습한다.



->>>> 여기까지 쓰다 만 글이 있었다. 미완의 글이었고, 많은 생각이 담길 글이었는데 급하게 잡힌 칼럼에 그냥 대충 털어넣었다. 마구잡이로 우겨넣었다고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기명 칼럼의 기회가 앞으로 내게 몇번이나 있을지 모르는데 그 중 한번의 기회를 형편없는 글로 밀어낸 것 같아서 한없이 낯뜨겁고, 화가 났다.

이날 너무나도 많은 일이 내게 벌어졌다. 그 혼란한 틈바구니에서 무언가가 결정됐다. 차라리 홀가분했다. 맘에 들지 않는 글은 결국 지면에 나갔다. 오래 잊지 못할 날이다.



그 결과물이 이거다.




#아빠 공부, 엄마 공부


열두 살 소년부터 서너 살배기 꼬마까지 네 명. 아버지가 다른 남매들이 있었다. 그들은 존재하지 않는 존재다. 공식적으로 태어난 적이 없어서다. 학교도 다니지 않았다. 사랑이 끝날 때마다 혼인신고도, 출생신고도 없이 떠난 남자들 뒤에 아이와 덩그러니 남겨진 엄마는 ‘흔적들’을 비밀리에 길렀다. 장남 아키라를 빼고는 창문 밖으로 고개도 내밀지 못하게 했다. 

가족은 엄마에게 새로운 사랑이 찾아오면서부터 무너졌다. 엄마는 편지와 약간의 돈만 남긴 채 아이들을 떠났고, 크리스마스에 돌아오겠다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두렵고 외롭고 배고픈 아이들이 제각기 붙들어 맨 일상은 오래가지 못했다. 관리비를 내지 못해 아파트에서 쫓겨났고 공원 노숙을 하던 중 막내는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난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2004년 작 영화 ‘아무도 모른다’ 얘기다. 1988년 도쿄에서 발생한 ‘스가모 어린이 방치 사건’이 영화의 바탕이 됐다. 이야기의 얼개는 비슷하지만 현실은 훨씬 더 잔혹하다. 실제 엄마는 비밀리에 기르던 아이들 중 둘째 아이가 병으로 죽자 시신을 비닐에 싸서 악취제거제와 함께 벽장에 넣어버렸다. 그걸 보고 자란 장남은 훗날 동네 친구가 집에 놀러왔다가 동생을 때려죽이자 비슷한 방법으로 암매장한다. 


27년 전 스가모의 엄마가 저버린 건 책임감뿐이었을지도 모른다. 지난해 말부터 대한민국 곳곳에서 더 많은 것들을 외면한 ‘자격 미달’ 아빠, 엄마들이 속속들이 세상 밖으로 끌려나왔다. 지난 1월에는 일곱 살 난 친아들을 때려 숨지게 하고 시신을 훼손해 냉동 보관한 부모가, 몇 주가 지나서는 중학생 딸을 폭행해 죽이고 시신을 1년 가까이 방치한 부모가 붙잡혔다. 또 몇 주가 지나니 일곱 살 난 아들을 학대해 죽게 하고 암매장한 부모가 나왔다. 


지난해 12월에 11살 난 키 120㎝, 몸무게 16㎏인 소녀가 가녀린 맨발로 인천의 집을 탈출한 덕분에 드러난 억울한 죽음들이다. 소녀가 세상에 알려진 뒤에야 정부는 아동학대 전수조사에 나섰고 죽은 아이들을 비롯해 328명에게서 학대 정황이 발견됐다. 켜켜이 쌓인 충격은 저마다의 마음속에서 여러 갈래 감정으로 뻗어나갔다. ‘정부는 지금까지 뭘 했느냐’는 쓴소리도 많았지만 “부모가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는 말로 응축되는 ‘분노’가 압도적이었다. 아빠, 엄마가 되기 전에 ‘인간’의 자격조차 갖추지 못한 문제의 ‘부모’들을 이해할 수 없다는 거다. 


이내 아동학대의 80%는 부모가 저지른다는 통계와 학대당한 아이들이 가정으로 돌아가 다시 고통 받는다는 기사들이 쏟아졌다. ‘남의 집 일’로 못 본 체 말라는 아동학대 신고 ‘팁’도 여기저기 나붙었다. 한바탕 소동이 지나간 자리에 남은 건 불편함이었다. 불안도 짙어졌다. 자식을 향한 ‘내리사랑’이나 ‘모성’이 불가항력적인 본능이라는 통념 밖을 내다봐야 하는 데서 비롯된 감정이었다. 막연한 믿음들은 연약해서 쉽게 의심받는다. 옆집의 우는 아이가 학대를 당하는 건 아닐까, 나는 좋은 부모인가, 자식 사랑이 본능이 아니라면 과연 나는 좋은 부모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저마다 해봤을 것이다. 

엄마가 되는 공부, 아빠가 되는 공부가 필요하다는 얘기에 힘이 실린다. 완벽한 해답은 아닐지라도 효과적인 예방책이라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정부도 중요성을 깨닫고 ‘부모 교육’을 강화하고 나섰다.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이번 주는 정부가 정한 첫 ‘부모교육 주간’이다. 전국 132개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11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됐다고 한다. 앞으로 가정의 날(5월 15일)이 있는 주가 매년 부모교육 주간이 된다. 
갈 길은 멀다. 2014년 영·유아 부모 1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부모교육을 받은 응답자는 여성이 39.3%, 남성이 19%에 불과했다고 한다. 아직 우리 사회엔 부모가 되는 일에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는 분위기가 충분하지 않은 게 사실이다. 
소설가 알랭 드 보통은 “우리는 사는 방법을 배우기도 전에 살아야만 했다는 사실”에서 불안이 비롯된다고 했다. 사는 법을 배우지 않고 시작된 삶에서 좌충우돌하는 건 나 하나뿐이다. 엄마가 되는 법을 알지 못하면, 아빠가 되는 법을 모른다면 최소 세 사람의 인생이 뒤틀릴 수 있다. 우리는 그렇게 죄 없이 고통 받은 아이들을 지난 몇 달간 너무 많이 봤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해피투게더 (1997)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인턴 (2015)

2015년 11월 4일 수요일 10개 일간지 1면

사람, 장소, 환대, 김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