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리를 포기할 각오는 됐나요

편리를 포기할 각오는 됐나요


문이 열리자마자 후끈한 기운이 쏟아져 나왔다. 더 이상 발 디딜 틈 하나 없어 보이는 안쪽을 향해 기어코 네댓 명이 몸을 욱여넣었다. 옷자락만큼 구겨진 얼굴들이 무언가를 보고는 이내 더 찌푸려진다. 전동휠체어다. 출근길 만원 전철 한 구석에 그게 있었다. 휠체어 위에는 모자를 푹 눌러쓴 노년의 남성이 좀처럼 알 수 없는 표정을 한 채 정물처럼 앉아 있었다. 열차가 흔들릴 때마다 사람들은 자꾸만 그의 머리 위로 휘청거렸다. 그리고 그를 힐끔거렸다. 환승역에 다다르자 밀치듯 빠져나가는 인파 사이에서 그는 꽤나 불안해보였으며 사람들은 살짝 불편해했다. 목적지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편리와 효율이 조금 위협받았다고 느꼈기 때문이었을까.

불의에는 눈을 쉽게 감고, 불편에는 눈에 불을 켠다. 그게 남들보다 수월하게 사는 비결이라고 세상은 가르친다. 거부감 없이 수용하는 것은 그저 적당한 불편이다. 소문난 맛집이라면 삼복더위에도 한 시간 넘게 줄지어 기다릴 줄 안다. 텃밭에서 찬거리를 직접 키우거나, 채식주의자를 자처한다. 2G폰으로 돌아가기도, TV를 없애기도 한다. 김용섭 칼럼니스트는 저서 ‘라이프 트렌드 2017-적당한 불편’에 ‘적당한 불편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트렌드는 소비의 진화이자 소비자의 성숙’이라고 적었다. 그러나 적당한 불편은 대개 나를 위한 마음에서 시작된다. 나의 미각을 위해 줄을 서고, 나의 건강을 위해 기르고 걸러 먹는다. 내 피로를 덜고자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찾는다.

반면 적당하지 않은 불편은 이타적인 속성을 지닌다. 환경을 위해 분리수거를 하거나 텀블러를 쓰고, 필요한 이들을 위해 노약자석을 비워 두는 행동들이 그렇다. 준법 역시 불편 감수에 기초한다.

영국의 신학자 리처드 후커는 “불편함 없이는 변화도 없다. 더 나은 방향으로의 변화도 마찬가지다”라는 말을 남겼다. 견뎌야 할 불편도 습관이 들면 당연해진다. 내가 더 가져서, 더 잘나서가 아니다. 나만이 아니라 다 같이 행복하기 위해 당연하게 누려 왔던 것들을 하나둘 내려놓는 것. 인류 역사의 거의 모든 변화가 거기서 시작되곤 했다.

지난달 대한의사협회가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에너지 절약운동에 동참할 의향이 ‘매우 있다’는 응답이 30.1%, ‘약간 있다’는 답이 53.9%였다. 지난해 12월 산업연구원이 2500여명을 조사한 결과 67.7%는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영업규제 수준이 지금보다 조금 더 높더라도 감수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편리의 패러다임은 이런 사람들 덕분에 사방에서 천천히, 그러나 분명하게 바뀌어간다.

고개를 돌리면 다수가 감수해 주기를 기다리는 불편들이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의 정책으로 달아오른 비정규직 이슈도 그중 하나다. 환영의 목소리 사이에서 인건비 증가, 채용 규모 감소 등에 따른 기업이나 취업준비생들의 부담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그리고 지난 24일 누군가는 포털 사이트 기사에 이런 댓글을 남겼다. “비교적 낮은 등록금, 마트 할인, 육체노동에 대한 저렴한 수고비, 고객을 깍듯하게 대하는 서비스, 낮은 택배비, 24시간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 등 비정규직 활성화로 일반 소비자인 내가 받아 왔던 혜택, 포기할 각오 되어 있습니다. 감수할 테니 비정규직·계약직 종사자들이 좀 더 인간답게 살 수 있게 해주세요.”

불편(不便)의 반대말인 편리(便利)는 ‘편하고 이로우며 이용하기 쉬움’이라는 뜻의 명사다. 가장 흔히 쓰이는 이 단어가 의외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동음이의어 가운데 가장 나중 것이다. 두 번째 편리(片理)에는 ‘얇은 조각이 겹쳐진 것처럼 광물이 평행으로 배열하여 줄무늬를 띠는 암석의 구조’라는 풀이말이 적혀 있다. ‘얇게 가로로 쪼개지기 쉽다’고도 돼 있다. 맨 위에 있는 것은 편리(片利). ‘어느 한쪽만의 이익’이라는 뜻이다.

사전에 담긴 순서대로 생각해볼까. 어쩌면 우리가 누리는 것은 편리(片利)에 가까울지도 모르겠다. 편리(片利)가 견고해지면 사람들 간의 편리(片理)가 생겨나고 사회는 쉽게 분열한다. 이를 외면하는 편리(便利)는 오래 지속되기 힘들다. 적당한 불편의 외연을 넓히고 편리의 여러 뜻을 같이 생각해봐야 하는 이유다. 많은 제도와 관습이 변하려고 하는 지금, 저마다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봤으면 좋겠다. 더 나은 삶을 향해 한 걸음 나아가기 위해 나는 내 몫의 불편을 감당할 준비가 돼 있는가?


===

저장용

2017년 5월 27일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해피투게더 (1997)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인턴 (2015)

2015년 11월 4일 수요일 10개 일간지 1면

사람, 장소, 환대, 김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