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옆에 있는 사람, 이병률

  내 옆에 있는 사람 이병률 달(2015) 만약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거든 많이 먹지 말고 속을 조금 비워두라. 잠깐의 창백한 시간을 두라. 혼자 있고 싶었던 때가 있었음을 분명히 기억하라. 어쩌면 그 사람이 누군가를 마음에 둘 수도 있음을, 그리고 둘 가운데 한 사람이 사랑의 이사를 떠나갈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라. 다 말하지 말고 비밀 하나쯤은 남겨 간직하라. 그가 없는 빈집 앞을 서성거려보라. 우리의 만남을 생의 몇 번 안 되는 짧은 면회라고 생각하라. 그 사람으로 채워진 행복을 다시 그 사람을 행복하게 함으로써 되갚으라. 외로움은 무게지만 사랑은 부피라는 진실 앞에서 실험을 완성하라. 이 사람이 아니면 죽을지도 모른다는 예감과 함께 맡아지는 운명의 냄새를 모른 체하지 마라. 함께 마시는 커피와 함게 먹는 케이크가 이 사람과 함께가 아니라면 이런 맛이 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라. 만날 때마다 선물 상자를 열 듯 그 사람을 만나라. 만약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거든. 문득 길을 가다 만나는 찐빵 가게에서 솥 바깥으로 치솟는 훈김 같은 것. 사랑은 그런 것. 호기롭게 사두었다가 오 년이 되어도 읽지 못하는 두꺼운 책의 무거운 내음 같은. 사랑은 그런 것. 여행지에서 마음에 들어 샀지만 여행을 끝나고 돌아와서는 입을 수 없는 옷의 문양 같은 것. 머쓱한 오해로 모든 것이 늦어버려 아물어지지 않는 상태인 것. 실은 미안하지만 동시의 누구의 잘못도 아닌 것. 들의 입자처럼 촘촘하지만 실은 헐거운 망사에 불과한 것. 사랑은 그런 것. 백년 동안을 조금씩 닳고 살았던 돌이 한순간 벼락을 맞아 조각이 돼버리는 그런 것. 시들어버릴까 걱정하지만 시들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시들게 두는 것. 또 선거철에 거리의 공기와 소음만큼이나 어질어질한 것. 흙 위에 놀이를 하다 그려놓은 선들이 남아 있는 저녁의 나머지인 것. 마취를 해도 마취가 안 되는 기억의 부위가 하나쯤 있었으면 한다 그것으로 가끔은 화들짝 놀라고 다치고 앓겠지만 그런 일 하나쯤 배낭

나태주, 사랑에 답함

사랑에 답함 나태주 예쁘지 않은 것을 예쁘게 보아주는 것이 사랑이다 좋지 않은 것을 좋게 생각해주는 것이 사랑이다 싫은 것도 잘 참아주면서 처음만 그런 사람이 아니라 나중까지 아주 나중까지 그렇게 하는 것이 사랑이다 =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 명료하다.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유현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유현준 을유문화사 (2015) 괴테는 "건축은 얼려진 음악"이라는 말을 하였다. 그의 말대로 건축에는 음악처럼 리듬, 멜로디, 화음, 가사가 있다. 고딕 성당 안을 걷다 보면 도열해 있는 열주들이 음악의 박자처럼 느껴지고, 스테인드글라스 그림의 이야기는 노래의 가사처럼 우리에게 말을 한다. p.16 이벤트 밀도는 그 거리가 보행자에게 얼마나 다양한 삶의 주도권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척도가 될 수 있다. p.27 도시는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다. 살아있는 생명체는 태어나서, 성장하고, 전성기를 지낸 후, 쇠퇴하고, 마지막으로 죽는다. 도시의 여러 부분도 태어나서, 성장하고, 나중에는 죽는다. 죽음이 생명의 일부이듯이 도시가 오래되면 일부분이 슬럼화되어서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 죽은 부분에 다시 새로운 생명이 돋아나도록 유도하는 것이 도시를 재생시키는 건축가의 역할이다. p.107 따라서 건축 공간이라는 것도 어느 하나의 확정된 물리적 조건으로 바라보면 안 된다. 대신 정보의 해석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는 주관적 인식의 산물로 보는 것이 이 시대에 건축 공간을 바라보는 올바른 관점일 것이다. p.254 결국 우리가 만들어야 하는 것은 건축물이 아니라 장소이다. p.280 = 생각보다 나와 더 밀접한 것들에 대한 뜻밖의 촘촘한 통찰. 특히 이벤트 밀도에 관한  부분과 우리나라 광장의 문제점들을 지적한 내용이 인상깊었다. 건축이란 실로 인간의 모든 지혜와 문화와 역사와 미래가 응축된 분야다. 거리를 걷는 것만으로 그 도시와 사람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것도 그때문이겠지. 다가오는 러시아 여행을 좀 더 만끽할 수 있을 것만 같다.

맥주 두 잔에 취한 토요일 밤의 단상

사람들은 운명처럼 저마다 다른 부피와 질량만큼의 행복을 타고나는 걸까. 어쩌면 그럴지도 모른다. 누군가에게는 대수롭지 않고 손쉽기만 한 작은 행복들이 또 다른 누군가에겐 평생을 바쳐 고대한들 닿을수조차 없는 신기루인 거다. 그걸 깨닫기까지는 너무 버거운 세월을 견뎌야한다. 그래서 때론 그 부당한 운명을 의식적으로 잊는다. 망각은 달콤하다. 불현듯 그 약효가 다했을 때가 문제다. 그 지난한 시간의 장막 틈에서 만족과 포기를 배우는 사람들도 있다. 나는 어느 쪽이 될까. 애꿎은 달이 밝다.

김근, 너의멸종

김근 너의멸종 너는 멸종했다 너라는 껍질을 뒤집어쓰고 너 아닌 것들이 거리를 활보한다 나는 실패했다 우리는 더 이상 우리가 아니고 어리석은 별들이 순식간에 졌다 우리의 어제는 우리와 함께 사라졌다 내일은 도착할 기약이 없고 오늘만 영원하다 땡볕 속에 응애응애 어느 병원에선가 또다시 너라는 병원체를 보유한 너의 새끼들이 태어난다 새끼들은 점점 너로 자라나 너의 흉내를 내며 너의 얼굴을 달고 지겹도록 살고 살아가고 그들의 입에서 흘려보낸 너의 메아리들이 도시 곳곳에서 불어 다닌다 수많은 벽들에 부딪쳐 본래 목소리조차 알 수 없게 된 메아리들로 거리는 온통 웅웅거리고 그렇게 혼곤하게 거리는 거리가 아닌 채로 있다 있기만 한다 나는 내가 아닌 채로 이제 그만 내 껍질을 찢어 버린다 한때 나였던 껍질이 내 문 앞에 쌓여 간다 껍질과 함께 흘러내리는 울음들은 시나 브로 화석으로 굳어가고 우리의 시간은 발굴 되지 않을 것이다 그 어느 때고, 끝없이 나는 실패하고, 사라지지는 결코 않는 오늘, 너라는 것들의 멸종은 멈출 줄을 모른다, 끝도 없이. = 할듯 말듯 멸종하지 않는 존재. 그 심연에서 나침반도 지도도 없이 유랑하는 나.

이장욱, 좀비 산책

좀비 산책 이장욱 비가 내리자 나는 드디어 단순해졌다 당신을 잊고 잠깐 무표정하다가 아침을 먹고 잤다 낮에는 무한한 길을 걸어갔다 친구들은 호전적이거나 비관적이고 내 몸은 굳어갔다 한 사람을 살해하고 두 사람을 사랑하고 잠깐 울다가 음악을 들었다 나의 사랑은 변하지 않았다 나의 죽음은 변하지 않았다 나는 금욕적이며 장래 희망이 있다 1968년이 오자 프라하의 봄이 끝났다 레드 제플린이 결성되었다 김수영이 죽었다 그 후로도 오랫동안 나는 여전히 태어나지 않았다 비가 내리자 나는 단순하게 잠깐 울다가 전진하였다 = 이렇게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장래 희망이라는 틀에 박힌 단어로 위안삼으면서. 울음조차 잠깐인 채로 그러나 무얼 위해 전진하는 지 모르는 상태로 그저 떠도는 것은 아닐까. 나의 사랑은, 나의 죽음은 변하지 않았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미셸 투르니에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미셸 투르니에 (Michel Tournier) 민음사(2012) 주의력의 한계는 점점 깊어지는 동시에 좁아졌다. 이젠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일을 생각하거나 심지어는 골몰한 한 가지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옮겨 가는 일마저 점점 더 어려워졌던 것이다. 이리하여 그는 타인이란 우리에게 있어서 강력한 주의력 전환 요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p.45 오직 과거만이 중요한 존재와 가치를 가지는 것이었다. 현재는 추억의 샘, 과거의 생산 공장 정도의 가치밖에 없었다. 산다는 것은 오직 그 값진 과거의 자산을 늘리기 위해서만 중요한 것이었다. 그러고는 마침내 죽음이 오는 것이었다. 죽음은 그 축적된 금광을 향유할 수 있는 순간에만 진정한 죽음이었다. 우리가 소란스러운 현재 속에서 보다 더 깊이 있게, 주의 깊게, 현명하게 감각적으로 삶을 음미할 수 있도록, 우리에게 영원이라는 것이 주어진 것이다. p.50-51 글을 쓴다는 이 성스러운 행위에 성공함으로써 그는 갑자기 지금까지 빠져 있었던 동물성의 심연으로부터 반쯤 헤어 나와 정신세계로 진입한 느낌이었다. ... 그에게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아니 더 정확히 말해서 그가 수치스럽게 여기고 잊어버리고자 하는 실수의 시절이 지나간 다음 이 섬에서의 진정한 생활이 시작되었다. p.56 나의 상황은 미덕에 최대를, 악덕에 최소를 걸며 용기와 힘과 자기 긍정과 사물들에 대한 지배를 미덕이라고 부르기를 요구한다. 악덕은 포기와 체념, 즉 진창이다. 그것은 아마 기독교 저 너머 인간적 지혜의 고대적 비전으로 되돌아가서 오늘의 미덕(Vertu)에 고대의 덕성(Virtus)을 대체하는 것이리라. 그러나 어떤 기독교의 심저에는 자연과 사물에 대한 근원적 거부가 도사리고 있다. 나는 스페란차에 대하여 그 거부를 지나치게 실천에 옮겼던 것인데 그것은 나의 멸망을 초래할 뻔했다. 반대로 나는 오직 이 섬을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