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제10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2019 제10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박상영/ 김희선/ 백수린/ 이주란/ 정영수/ 김봉곤/ 이미상
문학동네


그가 나에게 (어떤 의미에서든) 관심이 있는 게 아니라 단지 벽에 대고서라도 무슨 얘기도 털어놓고 싶을 만큼 외로운 사람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다. 나는 그런 외로운 마음의 온도를, 냄새를 너무 잘 알고 있었다. 
그때의 내가 바로 그런 사람이었으니까.
P.24

사랑은 정말 아름다운가. 
내게 있어서 사랑은 한껏 달아올라 제어할 수 없이 사로잡혔다가 비로소 대상에서 벗어났을 때 가장 추악하게 변질되어버리고야 마는 찰나의 상태에 불과했다. 
P.82

망각조차도 내게는 일종의 부자유스러운 상황으로 진입하는 것에 불과했다. 그동안 나는 도대체 ㅜ엇을 바라고, 무엇을 기다리고, 무엇을 꿈꾸었던 것일까.
...
그가 나의 가장 뜨거운 조각들을 가져가버렸다는 사실을, 그로 말미암아 내 어떤 부분이 통째로 바뀌어버렸다는 것을 후에야, 아주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야 알게 되었다. 
P.84

- 박상영, <우럭 한 점 우주의 맛>


그날 언니와 나눈 대화는 오랜 시간 잊고 지냈던 사실을 내게 일깨워주었다. 그러니까, 어떤 이와 주고받는 말들은 아름다운 음악처럼 사람의 감정을 건드리고, 대화를 나누는 존재들을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낯선 세계로 인도한다는 사실을 말이다. 
P.156

- 백수린, <시간의 궤적>


나는 회의로 가득차 있었고, 어디에서든 자그마한 희망의 불씨라도 발견하고 싶었던 것 같다. 하지만 희망이란 때때로 멀쩡하던 사람까지 절망에 빠뜨리곤 하지 않나? 아니 오로지 희망만이 인간을 나락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게다가 희망은 사람을 좀 질리게 하는 면이 있는데, 우리들은 대체로 그런 탐스러워 보이는 어떤 것들 때문에 자주 진이 빠지고 영혼의 바닥을 보게 되고 회한의 수렁에 빠지게 된다.
P.237

“우리 매년 여름마다 여기 올까?”
우리가 단 한 번도 이야기해본 적 없는 다음 여름에 대해 이야기할 만큼 현수는 그곳이 마음에 들었던 것이다. 우리가 단 한 번도 이야기해본 적 없는 다음의 다음, 또 다음의 여름에 대해 이야기할 만큼 현수는, 그리고 우리는 그날의 분위기가 좋았던 것이다. 
...
매해 여름이란, 이런 아름다운 계절이 한 번도 아니고 두 번도 아니라 셀 수 없이 많이 지속될 여름이란 우리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아득하고 눈부신 말이었다. 그동안 우리가 종종 나누기도 했던 조금은 과장된 약속들과 달리 그건 우리 모두를 미몽에서 깨울 만큼 강력한 주문이었다. 물론 그 짧은 정적 이후에 우리는 활기를 되찾았고, 문학과 삶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지만 그뒤로는 모든 게 공허하게 느껴질 뿐이었다. 그 주문이 내게 준 실감은 언젠가 우리가 서로를 잃을 거라는 것이었고, 그 상실에 대한 두려움만큼 내가 그들을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P.259

- 장영수, <우리들>


종인 선배의 무언가를 더 알기 위해, 기억해 캐내기 위해, 혹여라도 이해하기 위해, 애써 또하나의 필터를 만들어 내게 덧씌우고 싶지 않았다. 그를 더는 알고 싶지 않았다. 그런다고 달라지는 건 아무것도 없으리란 걸 이제 나는 알았다. 
여전이 내가 그 이후를 어떻게 지나왔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이후, 내가 어떻게 변했는지에 대해서는 나는 말할 수 있다. 
...
첫이 아닌 것들의 의미를 더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이 되었다. 사랑에서 애걸로 되는 건 단 하나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그도 영화도 내가 선택한 잘못 찾아들어간 길이란 걸 깨닫게 되었다. 
하지만 그건 과연 유의미한 변화인 것일까? 무의미한 변화는 없었던 것인가? 돌이킬 수 없는 변화만이 유의미한 것인가? 아는 것과 변하는 것은 얼마나 어떻게 다른가? 기억의 열람만이 간으할 뿐이라면 무엇이 얼마나 달라질 수 있겠는가?
P.305

- 김봉곤, <데이 포 나이트>


=

매년 이 작품집을 읽고 나야 비로소 봄이 완연해졌다는 생각이 든다. 단편소설에 매력을 느끼게 해 준 것도 이 작품집이다. 
올해는 10년을 맞아 왠지 더 특별한 것 같은 느낌.

이 좋은 소설들의 수려한 문장들보다도 내 마음을 더 동요케 한 건 선우은실 평론가가 <시간의 궤적>에 대해 쓴 평론 ‘비 오는 밤의 저편’의 한 구절이다. 
“우리의 삶은 동경하는 일의 아름다움과 그로부터 도래할 불안을 감내하고 마주하는 용기로 이루어진다. 홀로 남은 ‘나’에게 이 문장을 보낸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해피투게더 (1997)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인턴 (2015)

2015년 11월 4일 수요일 10개 일간지 1면

사람, 장소, 환대, 김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