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프티 피플, 정세랑

피프티 피플


정세랑 장편소설 / 창비



“다음 당직에도 사람들이 많이 오면 좋겠다. 기왕이면 살릴 수 있는 사람들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 놀이공원 같아. 굉장히 참담한 놀이공원이지만 놀이공원 같아.
아드레날린 정키는 만족스러웠다.”

“유라는 길을 걷다가 유난히 불행을 모르는 듯한, 웃음기를 띤 깨끗한 얼굴들을 발견하면 갑자기 화가 났다. 불행을 모르는 얼굴들을 공격하고 싶은 기분이 되곤 했다. 왜 당신들은 불행을 모르느냐고 묻고 싶었다. 어리고 젊고 아직 나쁜 일을 겪지 않은 얼굴들이 생각보다 흔하지 않다는 건 비틀린 위로였다.”

“아주 어릴 때부터 기다리고 찾았던 그 적소가 어쩌면 여기일지도 모른다고 최근에야 드디어 생각이 들었다. 쉬운 자리는 아니었다. 하중이 걸리는 자리였다. 하지만 채원은 스스로가 단단한 부품임을 알고 있었다. 자신이 하중을, 타인의 생명이라는 무게를, 온갖 고됨과 끝없는 요구를 견딜 수 있는 부품이란 걸 어떤 자기애도 없이 건조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거짓말 너머를 알고 싶지 않다. 이면의 이경 따위, 표면과 표면만 있는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싶다.”

“알고 보니 세상에서 자기 아프다는 말을 가장 잘하는 사람들이 시인들이었다. 아프다는 말을 아름답게 해버리는 동료들 덕에 말할 수 있게 되었다. 간질을 앓았던 사람도 여럿이었다. 윤나는 개운해진 한편 가끔 아연하기도 했다. 우리가 쓰는 시가, 사실은 간질의 후유증이면 어떡하지? 발작 같은 것이면 어떡하지? 윤나로서는 영원히 알 수 없을 것이다.”

“아이는 운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 운이 좋았던 적이 있어야 이해할 것이다. 큰 파도를 타는 것과 비슷했다. 파도가 부서질 줄 알았는데 계속되었다. 평생 그랬다. 유학생 출신답게 호 선생은 생각했다. ‘그레이트 라이드’ 였다고. 그 좋았던 라이드가 이제 끝나간다. 그렇다면 나눠줘도 좋을 것이다.
...
호 선생은 별로 욕심이 나지 않는다. 발 밑에서 큰 파도가 다 부서져도 좋다. 지금껏 너무 많이 가졌다. 잃어도 좋다.”

“키스를 하는데 입을 벌릴 수 없었다. 아프기도 했지만 들키기 싫었다. 사랑은 사실 점막으로 하는 게 아닌가. 그런데 희락의 점막은 위아래 어디나 엉망이었다.”

“‘나중에 하나도 기억 못하겠지? 니가 자기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의진은 저도 모르게 그런 말을 했다. 우리가, 한사람 한사람이 기억하지 못하는 사랑의 기간들이 얼마나 길까. 갑자기 그런 생각을 했더니 눈물이 조금 고였다.”

“연모의 손이 계속 굳은살 없이 부드러웠으면 했다. 사과나 깎으면서, 엉망인 세계를 살아가지 않았으면 했다. 아이인 채로 계속 있게 해줄 수는 없는 것인가. 바람에 춤추는 풍선을 손목에 감고 유원지를 걷듯이 살아가게 해줄 수는 없는 것인가.”

“결혼은 그 나름대로의 노력이 계속 들어가지만, 매일 안도하게 되는 순간들이 있었다. 마음을 다 맡길 수 있는 사람과 더이상 얕은 계산 없이 팀을 이루어 살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말이다.”

“살이 찢어지고 뼈가 부러진 채 다친 동물처럼 실려온 여자들에게, 아이들에게 그 일이 이제 지나갔다고 말해주면서 1년이 갈 것이다. 그 와중에 누군가는 또 바보같은 소리를 할 테고, 거기에 끈질기게 대답하는 것도 1년 중 얼마 정도는 차지할 테다. 가장 경멸하는 것도 사람, 가장 사랑하는 것도 사람, 그 괴리 안에서 평생 살아갈 것이다.”

“연모에겐 첫 키스였다. 가슴속에서 백조 백마리가 한꺼번에 수면을 박차고 날아오르는 것 같은 소리가 났다.”



=

섬세하게 직조된 이야기 조각들. 재봉틀 말고 베틀로 오랜 시간 공들여 짜낸 것 같은 한사람 한사람의 생. 사람 뿐 아니라 문신이나 턴테이블, 닥터헬기 같은 것들이 연결고리가 되어 퍼즐 하나하나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오십인의 삶에 제각기 얼룩과 그늘도 있었지만 다 짜여진 이야기 직물은 어쩐지 비극 없이 아름답다.

세상을 지탱하는 내 인생 또한 멀리서 보면 알록달록한 아름다움일까.

작가의 말에 이런 문장들이 있었다.

“ 얼굴들이 어디에서 왔을까요? 길거리에서 왔을 것도 같고 꿈에서 왔을 것도 같습니다. 세상이 무너져내리지 않도록 잡아매는 것은 무심히 스치는 사람들을 잇는 느슨하고 투명한 망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해피투게더 (1997)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인턴 (2015)

2015년 11월 4일 수요일 10개 일간지 1면

사람, 장소, 환대, 김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