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믐으로 가는 검은 말 이제니 꿈을 꾸고 있었다 구두를 잃어버린 사람이 울고 있었다 북해의 지명을 수첩에 적언허었다 일광의 끝을 따라 죽은 사람처럼 걸었다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었다 그 밤 전무한 추락처럼 검은 새는 날아올랐다 언덕에 앉아 휘파람을 불고 있었다 휘파람을 불려고 애쓰는 사이 그 사이 흉터에 대한 기억이 떠올랐다 그것은 너의 손목에 그어진 열십자의 상처였다 한번 울고 한번 절할 때 너의 이마는 어두워졌다 쓸모없는 아름다움만이 우리를 구원할 것이다 바닥에 앉아 꽃을 파는 중국인 자매를 보았다 모로코나 알제리 사람인지도 모르지 이미 죽은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다 당신에게 말할 수 없습니다 비밀을 지킬 수 있습니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네가 누군가를 비난할 때 그것이 너 자신의 심장을 겨눌 때 거리의 싸구려 과육과 관용을 함부로 사들일 때 나는 그것이 네가 병드는 방식인 줄을 몰랐다 말수가 줄어들듯이 너는 사라졌다 네가 사라지자 나도 사라졌다 작별인사를 하지 않는 것은 발설하지 않은 문장으로 너와 내가 오래오래 묶여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잊혀진 줄도 모른 채로 잊혀지지 않기 위함이다 제 말을 끝까지 들어보세요 할 수 있는 것은 하겠습니다 창문을 좀 열어도 되겠습니까 문이 잠겨서 들어갈 수 없습니다 그 밤 우리는 둥글고 검은 것처럼 사라졌다 문장 사이의 간격이 느슨해지듯 우리는 사라졌다 누구도 우리의 얼굴을 기억하지 못했다 <아마도 아프리카> 창비시선321 창비 = 기울어 사라지는 모든 것. 쓸모없고 아름다워 영원할 수 없는 모든 것들의 안녕을 빌면서 문장을 곱씹었다.
코다의 노래 이제니 손을 씻자 낯빛이 검어졌다. 내 어둠의 깊이를 헤어리는 밤. 오래된 망상과 코카콜라와 데스메탈과 카발라와 차오르는 귓구멍의 물기와 너와 나의 아득한 피킹 하모닉스. 나의 기타는 너무 많은 심장을 가진 것처럼 끊어지기 직전의 팽팽한 긴장으로. 새끼손가락이 짧은 나의 운지법은 더듬더듬 춤추듯 절룩거리고. 적막이란 적막 이전에 소리가 있었다는 말. 너무 많은 심장이 우리를 질식하게 한다. 생각한 그대로 끝에서 끝까지 밀고 나아가려 했던 것이 우리의 때아닌 조로의 이유. 너는 사각형의 소녀처럼 울었고 그 뾰족한 모서리가 무심히 나를 찔렀다. 뜬눈으로 꿈속을 들락거리다 다시 술 마시고 담배 피우고 술 마시고 담배 피우고, 시적인 문장을 찾으려 할 때마다 죄를 짓는 기분. 조금도 시적이지 않은 언어의 빙판 위에서 나 자신과 분리된 불안은 시적으로 미끄러지고. 당분간은 자살하지 않을 거라는 어제와 다를 바 없는 다짐을 하고. 이곳은 너무 어둡고 너의 개념은 모질고 한번도 내가 원한 자리에 놓여 있었던 적이 없고. 데크레센도 데크레센도 코다의 노래. 내가 바라는 건 아주 작고 희미한 것들뿐. 단 한 순간도 나 자신으로부터 달아나지 않는 것. 매순간 초연해지길 바라지만 혁명을 하기엔 책을 너무 많이 읽었고 풍경을 읊기엔 양심이 허락하지 않고 너는 또다시 성냥을 긋듯 손목을 긋고. 마음으로 악담을 퍼붓고 돌아서전 시절. 속쓰림과 배고픔과 후회와 반서이 아코디언 주름처럼 펼쳐졌다 접히기를 반복하고. 내겐 더이상 날개가 없다. <아마도 아프리카> 창비시선321 창비 = 끝나지 않을 것 같은 클라이막스여서 가장 완성도 높은 에필로그가 된다. 계속 더 나은 문장을 향해 나아가려는 갈증 같은 것이 담겼다.
밤의 공벌레 이제니 온 힘을 다해 살아내지 않기로 했다. 꽃이 지는 것을 보고 알았다. 기절하지 않으려고 눈동자를 깜빡였다. 한 번으로 부족해 두 번 깜빡였다. 너는 긴 인생을 틀린 맞춤법으로 살았고 그건 너의 잘못이 아니었다. 이 삶이 시계라면 나는 바늘을 부러뜨릴 테다.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처럼 하염없이 얼음을 지칠 테다. 지칠 때까지 지치고 밥을 먹을 테다. 한 그릇이 부족하면 두 그릇을 먹는다. 해가 떠오른다. 꽃이 핀다.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면 울고 싶은 기분이 든다. 누구에게도 말 못하고 주기도문을 외우는 음독의 시간. 지금이 몇 시일까. 왕만두 찐빵이 먹고 싶다. 나발을 불며 지나가는 밤의 공벌레야. 여전히 너도 그늘이구나. 온 힘을 다해 살아내지 않기로 했다. 죽었던 나무가 살아나는 것을 보고 알았다. 틀린 맞춤법을 호주머니에서 꺼냈다. 부끄러움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아마도 아프리카>, 창비2010 = 밤이라는 시간들에 흠뻑 젖은 채 찾아오는 차갑고도 뜨거운 감성. 거기서 촉발되는 낯설게 익숙한 의식의 흐름. 어느 순간에선가 나도 모르게 위로를 받았다. 오늘도 괜히 잠이 오지 않아서 이 시를 옮겨적는다.
남겨진 것 이후에 이제니 흰 집 건너 흰 집이 있어 살아가는 냄새를 희미하게 풍기고 있다. 거룩한 말은 이 종이에 어울리지 않아서 나 자신도 읽지 못하도록 흘려서 쓴다. 하늘은 어둡고 바닥은 무겁고, 나는 다시는 오지 않을 사람을 가지게 되었고, 너는 말할 수 없는 말을 내뱉고 읽히지 않는 문장이 되었다. 낮잠에서 깨어나 문득 울음을 터뜨리는 유년의 얼굴로. 마음과 물질 사이에서 서성이는 눈빛으로 인간 저 너머의 음역으로 움직이고 움직이면서. 돌보는 말과 돌아보는 말 사이에서 밀리는 마음과 밀어내는 마음 사이에서 사랑받은 적 없는 사람이 모르는 사이 하나하나 감정을 잃어버리듯이, 한밤의 고양이와 친해진 것은 어느 결에 사람을 저버리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냥 사람이라는 말. 그저 사랑이라는 말. 그러니 너는 마음 놓고 울어라. 그러니 너는 마음 놓고 네 자신으로 존재하여라. 두드리면 비춰 볼 수 있는 물처럼. 물은 단단한 얼굴을 가지고 있어서. 남겨진 것 이후를 비추고 있었다. 이제니, <그리하여 흘려 쓴 것들> 문학과지성 시인선 520 = 어떤 기억에 대해서, 나 대신 쓴 것만 같은 시. 단단한 얼굴에 비추어진 이후는 어떠한가.
2019 올해의 시상식 딱 하나를 고를 생각을 하면 아찔하다. 곤란해서다. 하나만 고르기엔 좋은 것들이 숱하다. 그럼에도 시도해본다. 나만의 시상식. 내 삶의 세번째 10년을 지나보낸, 2019년 한해를 조금 특별하게 매듭짓기 위해서다. 제때를 맞춰 사랑한 것들과, 뒤늦게 접하고 사랑에 빠진 것들을 각각 골랐다. 시 - 올해 작품: 이제니, <그리하여 흘려 쓴 것들> - 남겨진 것 이후에 , 문학과지성사 - 예전 작품: 허수경, <혼자 가는 먼 집> - 불취불귀 , 문학과지성사 소설 - 올해 작품: 박상영, <대도시의 사랑법>, 문학동네 - 예전 작품: 김금희, <경애의 마음> , 창비 비문학 - 올해 작품: 심보선,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그날 그 자리에 있을 사람에게)>, 문학동네 - 예전 작품: 조너선 갓셜, <스토리텔링 애니멀>, 민음사 영화 - 올해 작품: 봉준호, <기생충> - 예전 작품: 쿠엔틴 타란티노, <펄프픽션> 드라마 - 올해 작품: 이병헌, <멜로가 체질>, JTBC - 예전 작품: 응답하라 1997, TVN 음악 - 올해 작품: 잔나비, <전설> - 주저하는 연인들을 위해 - 예전 작품: Aerosmith, , I Don’t Want To Miss A Thing 공연 및 전시 매튜 본, <백조의 호수> 여행지 아이슬란드 바트나요쿨 빙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