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 투게더 春光乍洩, Happy Together, 1997 드라마 홍콩 97분 2009 .03.27 재개봉, 1998 .08.22 개봉 왕가위 장국영 (보영), 양조위 (아휘), 장첸 (장) 우리 다시 시작하자. 나랑 지낸 날들을 후회해? 서로 멀리 떨어져있어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면 그건 함께 있는 거나 마찬가지야. 그의 손이 낫지 않기를 바랐다. 아픈 그와 함께 있을 때가 가장 행복했기 때문이다. 목소리를 여기 녹음해요. 슬픔을 땅 끝에 묻어줄게요. 때로는 귀가 눈보다 사람을 더 잘 봐요. 예를 들어 누가 행복을 가장해도 그가 내는 소리는 숨기지 못해요. 세심히 들으면 다 알 수 있어요. 사실 그날 일들을 정확히 기억할 수는 없다. 이젠 나랑 같이 있는 것이 지겹다는 말을 했다는 것 외에는. 차라리 지금 헤어지고 인연이 닿아 다시 만나면 그때 다시 시작하자고 했다. 그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난 늘 그와 많이 다르다고 생각해왔는데, 사람들은 고독해지면 똑같다는 걸 깨달았다. 껴안았을 때는 내 심장이 뛰는 소리 외엔 아무 것도 안 들렸다. 그도 들었을까. 이과수 폭포 아래 도착하니 보영이 생각났다. 슬펐다. 폭포 아래 둘이 있는 장면만 줄곧 상상해 왔기 때문이다. 그가 자유로운 이유를 알았다. 돌아갈 곳이 있으니까. = 원제는 춘광사설(春光乍洩). 구름 사이로 잠시 비치는 봄 햇살 이라는 뜻이란다. 일본에서는 '부에노스 아이레스'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고 한다. 왕가위 감독 영화가 점점 좋아지는 만큼 마음의 준비가 됐을때 조금씩 꺼내보려고 결심했었다. 해피투게더 역시 그랬다. 어릴 때 조금 보다가 그만둔 적은 있었는데, 당시엔 별다른 감흥을 느...
해피도 알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가 지나가고 난 뒤에도 저 불은 우리의 예상보다 좀더 오랫동안 타오를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 안에서. 내부에서. 그 깊은 곳에서. 어쩌면 우리가 늙어서 죽을 때까지도. 이 우주의 90퍼센트는 그렇게 우리가 볼 수 없는, 하지만 우리에게 오랫동안 영향을 미치는, 그런 불들로 채워져 있다는 사실을. 물론 살아 있는 동안, 우리는 그 불들을 보지 못하겠지만. (p.22)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 우리는 모두 헛똑똑이들이다. 많은 것을 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대부분의 사실들을 알지 못한 채 살아간다.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 대부분은 '우리 쪽에서' 아는 것들이다. 다른 사람들이 아는 것들을 우리는 알지 못한다. 그런 처지인데도 우리가 오래도록 살아 노인이 되어 죽을 수 있다는 건 정말 행운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어리석다는 이유만으로도 당장 죽을 수 있었다. 그 사실만으로도 우리는 이 삶에 감사해야만 한다. 그건 전적으로 우리가 사랑했던 나날들이 이 세상 어딘가에서 이해되기만을 기다리며 어리석은 우리들을 견디고 오랜 세월을 버티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맞다. 좋고 좋기만 한 시절들도 결국에는 다 지나가게 돼 있다. 그렇기는 하지만, 그 나날들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말할 수는 없다. (p.81) 맞아요. 그랬어요. 십 년은 고사하고 당장 내년 이맘때는 어떨지도 모르고. 그렇게요. 다음 여름에도 햇살이 이렇게 뜨거울지, 어떤 노래가 유행할지, 다음에는 어느 나라의 이름을 가진 태풍들이 찾아올지도 모르고, 그렇게요. 나는 우리가 걸어가는 길을 바라봤다. 호수 건너편, 메타세쿼이아가 서 있는 세계의 끝까지 같다가 거기서 더 가지 못하고 시인과 여자친구는 다시 그 길을 걸어 집으로 돌아갔을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렇다면 두 사람은 무척 행복했고, 또 무척 슬펐을 것이다. (p.47) -세계의 끝 여자친구 우리는 시간이 지나고 난 뒤에 우리의 꿈들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 깨닫게 되는 것 같...
2015년 11월 24일 월요일 10개 일간지 1면 -11월 22일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경향신문: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국민일보: 민주화의 巨山 떠나다 ▼동아일보: 닭의 모가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문화일보: '미완의 改革과 통합' 숙제 남기고 가다 ▼서울신문: 민주화 '巨山' 떠나다 ▼세계일보: 민주화 큰 별 지다 ▼조선일보: 大道無門의 승부사 '巨山' 잠들다 ▼중앙일보: "통합과 화합" 승부사 YS 마지막 메시지 ▼한겨레: 민주화 큰산 떠나다 ▼한국일보: 민주화의 긴 여정 맺다 = 사진은 조선 동아가 제일 힘있는 느낌. 제목까지 더하면 조선에 한표. 전반적으로 거산에 집착한 느낌
퐁네프의 연인들 (1991) Les Amants Du Pont-Neuf, The Lovers On The Bridge Director: Leos Carax Writer: Leos Carax Stars: Juliette Binoche , Denis Lavant , Daniel Buain | 온 도시가 음악으로 가득 찼어. 네가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내일 아침 '하늘이 하얗다'고 해줘. 그게 만일 나라면 난 '구름은 검다'고 대답할 거야. 그러면 서로 사랑하는지 알수 있는 거야 Quelqu'un vous aime. Si vous aimez quelqu'un vous lui dit demain: "le ciel est blanc". Si c'est moi je reponds "mais les nuages sont noirs". On saura comme ça qu’on s’aime. 하늘이 하얘. Le ciel est blanc. 구름은 검어. Mais les nuages sont noirs. 여기에 사랑은 없어! 사랑은 바람 부는 다리가 아니라 포근한 침대가 필요한 거야. 너는 내가 기억하는 마지막 형상이 될 거야. 벌써 작은 건 보이지 않아. 너의 미소는 참 아름다워. 하지만 그렇게 작은 미소는 이제 보이지 않아. 크게 웃어줘. 날 위해 모든걸 크게 해줘. 아무도 나에게 잊는 방법을 가르쳐 줄 수 없어. 나는 너의 눈 위에 있고, 너의 입가 그늘 속에 숨어 있어. = 미친 사랑, 혹은 눈 먼 사랑이라는게 이런 걸까 싶다. 둘만의 다리 위에서 보는 불꽃놀이는 너무 모든 감각이 폭발해버릴 것처럼 황홀했다...
베테랑 Veteran, 2015 123분, 2015년 8월 5일 개봉 감독: 류승완 출연: 황정민(서도철), 유아인(조태오), 유해진(최상무) # 야 우리가 돈이 없지 가오가 없어? 가오 떨어지는 짓 좀 하지 말자. # 나한테 이러고 뒷감당 할 수 있겠어요? # 내가 죄 짓고 살지 말라 그랬지 = 류승완의 모든 것이 담긴 영화. 쉴틈없이 몰아치는 스토리와 액션이 딴 생각 할 틈을 주지 않는다. 클리셰들의 집합이지만 그 집합이 더할 나위 없는 짜임새를 갖췄다는 점에서 장르영화의 끝판왕에 가까운 완성도에 이르렀다. 황정민이야 말할 필요도 없고. 유아인의 스크린 장악력에 감탄, 또 감탄. 조태오 그 자체를 연기했다. 이제 유아인 보면 무서울 것 같다. 어이없다고 후려칠까봐. 기고만장한 이야기들이지만 모두 대한민국 재벌들이 실제로 저질렀던 악행들이다. 우린 영화보다 영화 같은 세상을 살고 있다. 경찰다운 경찰들이 나온단 점에서 갓 경찰 기자를 벗어난 내게 일견 뿌듯한 영화였다. 관련 취재에 충실했음을 보여주는 장면들이 곳곳을 채운다. 이제 이런 영화 보면서 동질감 느끼지 말아야지. 난 탈사슴했으니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