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 투게더 春光乍洩, Happy Together, 1997 드라마 홍콩 97분 2009 .03.27 재개봉, 1998 .08.22 개봉 왕가위 장국영 (보영), 양조위 (아휘), 장첸 (장) 우리 다시 시작하자. 나랑 지낸 날들을 후회해? 서로 멀리 떨어져있어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면 그건 함께 있는 거나 마찬가지야. 그의 손이 낫지 않기를 바랐다. 아픈 그와 함께 있을 때가 가장 행복했기 때문이다. 목소리를 여기 녹음해요. 슬픔을 땅 끝에 묻어줄게요. 때로는 귀가 눈보다 사람을 더 잘 봐요. 예를 들어 누가 행복을 가장해도 그가 내는 소리는 숨기지 못해요. 세심히 들으면 다 알 수 있어요. 사실 그날 일들을 정확히 기억할 수는 없다. 이젠 나랑 같이 있는 것이 지겹다는 말을 했다는 것 외에는. 차라리 지금 헤어지고 인연이 닿아 다시 만나면 그때 다시 시작하자고 했다. 그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난 늘 그와 많이 다르다고 생각해왔는데, 사람들은 고독해지면 똑같다는 걸 깨달았다. 껴안았을 때는 내 심장이 뛰는 소리 외엔 아무 것도 안 들렸다. 그도 들었을까. 이과수 폭포 아래 도착하니 보영이 생각났다. 슬펐다. 폭포 아래 둘이 있는 장면만 줄곧 상상해 왔기 때문이다. 그가 자유로운 이유를 알았다. 돌아갈 곳이 있으니까. = 원제는 춘광사설(春光乍洩). 구름 사이로 잠시 비치는 봄 햇살 이라는 뜻이란다. 일본에서는 '부에노스 아이레스'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고 한다. 왕가위 감독 영화가 점점 좋아지는 만큼 마음의 준비가 됐을때 조금씩 꺼내보려고 결심했었다. 해피투게더 역시 그랬다. 어릴 때 조금 보다가 그만둔 적은 있었는데, 당시엔 별다른 감흥을 느...
자유로부터의 도피 에리히 프롬/ 김석희 옮김/ Humanist 인간의 가장 추악한 성향만이 아니라 가장 훌륭한 성향도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고정된 인간 본성이 아니라 인간을 만들어내는 사회 과정의 결과다. ... 사실 인간 자체가 인류의 부단한 노력이 낳은 가장 중요한 창조물이자 성취이고, 그 기록을 우리는 역사라고 부른다. p.29 외부 세계와의 관계는 고귀할 수도 있고 하찮을 수도 있지만, 아무리 천박한 행동 양식과 관계를 맺더라도 혼자인 것보다는 훨씬 낫다. p.35 인간은 태어났을 때는 모든 동물 가운데 가장 무력하다. 자연에 대한 인간의 적응은 본능의 결정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학습 과정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능은...... 고등동물. 특히 인간에게는 사라지는 범주는 아니라 해도 약해지는 범주다." ... 하지만 인간의 무력함이야말로 인간의 비약적 발전의 발판이 된다. '인간의 생물학적 약점은 인간 문화의 조건이다.' p.47 인간은 근대적인 의미에서 자유롭지는 않았지만, 혼자 고립되어 있지도 않았다. 태어났을 때부터 바꿀 수도 없고 의심할 여지도 없는 확실한 자리를 사회에 갖고 있으면, 인간은 구조화된 전체에 뿌리를 박고, 따라서 삶은 의심할 여지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는 의미를 갖고 있었다. 사람은 사회에서 자신이 맡고 있는 역할과 동일시되었다. p.56 봉건 사회아를 중세적 체제의 붕괴는 모든 사회 게급에게 한 가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것은 개인이 홀로 남겨지고 고립되었다는 것이다. 개인은 이제 자유로워졌다. 이 자유는 두 가지 결과를 낳았다. 인간은 그때까지 누렸던 안전성과 의심할 여지없는 소속감을 박탈당했고, 경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안전을 추구하는 그를만족시켰던 세계로부터 강제로 떨어져나왔다. 그는 고독과 불안을 느꼈다. 하지만 그는 자유롭게 행동할 수도 있었고 독립적으로 생각할 수도 있었다. p.108 '신에대한 개인주의적 관계는 인간의 세속 활동...
2015년 11월 24일 월요일 10개 일간지 1면 -11월 22일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경향신문: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국민일보: 민주화의 巨山 떠나다 ▼동아일보: 닭의 모가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문화일보: '미완의 改革과 통합' 숙제 남기고 가다 ▼서울신문: 민주화 '巨山' 떠나다 ▼세계일보: 민주화 큰 별 지다 ▼조선일보: 大道無門의 승부사 '巨山' 잠들다 ▼중앙일보: "통합과 화합" 승부사 YS 마지막 메시지 ▼한겨레: 민주화 큰산 떠나다 ▼한국일보: 민주화의 긴 여정 맺다 = 사진은 조선 동아가 제일 힘있는 느낌. 제목까지 더하면 조선에 한표. 전반적으로 거산에 집착한 느낌
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 (The Course of Love) 알랭 드 보통/김한영 옮김/은행나무 사랑을 유발했던 신비한 열정으로부터 눈을 돌릴 때 사랑이 지속될 수 있음을, 유효한 관계를 위해서는 그 관계에 처음 빠져들게 한 감정들을 포기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이를 것이다. 이제 그는 사랑은 열정이라기보다 기술이라는 사실을 배워야만 할 것이다. p.16 러브스토리는 누군가 우리를 다시는 보지 않으려 할까 봐 두려워할 때가 아니라, 그들이 우리를 항상 보는 일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때 시작된다. 그들이 도망갈 수 있는 기회가 도처에 널려 있을 때가 아니라 평생 서로의 포로가 되겠다는 엄숙한 서약을 나눌 때이다. ... 우리는 러브스토리들에 너무 이른 결말을 허용해왔다. p.27 그녀를 바라보고 있자니 입술이 가늘게 떨리는 것이, 마치 뜻 모를 밤의 언어로 혼자 책을 읽고 있는 것 같다. p.44 쾌청한 밤에 온 우주가 그들을 맞으러 내려왔다. 그녀는 안드로메다자리를 가리킨다. 비행기 한 대가 에든버러 성 위를 넘어 착륙을 위해 공항으로 직행한다. 바로 그 순간, 그는 이 사람이 함께 늙어가고 싶은 여자란 느낌이 확실해진다. p.59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이성적일 필요는 없다. 우리가 익혀두어야 할 것은 우리가 한두 가지 면에서 다소 제정신이 아니라는 것을 쾌히 인정할 줄 아는 간헐적인 능력이다. p.116 두 사람 모두 친밀해지고 싶은 욕망 때문에 마음이 아플 수 있지만 그로 인한 어떤 결과로부터도 안전하다. 그들은 결코 분개할 필요가 없으며, 계속해서 서로를 좋은 마음으로 생각할 것이다. 미래가 없는 사람들만이 그럴 수 있듯이. p.209 결혼: 자신이 사랑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에게 가하는 대단히 기이하고 궁극적으로 불친절한 행위. p.237 라비가 결혼할 준비가 되었다고 느끼는 것은 타인에게 완전히 이해되기를 단념했기 때문이다. ... 라비가 결혼할 준비가 되었다고 느끼는 것은 자신...
댓글
댓글 쓰기